본문 바로가기
■ 지역별 탐방/관악·삼성·수락·불암산

관악산·삼성산의 5개 남근석·여근석 종주코스

by 즐풍 2023. 10. 7.

2023_156   

 

 

2023. 10. 5. (목)  07:41~16:26, 8시간 45분 산행, 휴식 1시간 50분 포함, 이동 거리 14km

 

 

어제저녁에 한 차례  소나기가 내리면서 얼마간의 미세먼지를 씻어냈다.

아침엔 제법 쌀쌀한 데 버스시간에 맞춰 서두르다 보니 덧옷을 챙기지 않아 버스를 기다릴 때 살짝 춥다.

소나기가 지나간 뒤라 맑은 가을하늘은 더 맑게 보여 덧없이 푸르다.

오늘 같이 선선한 날씨라면 땀도 별로 흘리지 않겠다.

 

관악산과 삼성산의 11개 국기봉을 종주하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하다.

불과 3~4년 전이라면 생각할 것도 없이 배낭 둘러메고 산행하면 되겠지만 지금은 아니다.

몇 번을 생각해 봐도 해 짧은 가을에 자운암 국기봉과 학바위 국기봉을 오르내리기가 겁난다.

거기다 무너미계곡을 지나 삼성산의 국기봉을 거쳐 장군봉에 돌산 국기봉까지 생각하면 끔찍하다.

 

대안을 찾다 보니 지금까지 아무도 감행하지 않은 오묘한 코스를 생각해 냈다.

관악산과 삼성산에 있는 남·여근석 다섯 개를 연결한 종주코스를 만드는 것이다.

즐풍이 만든 「관악산·삼성산 다섯 개 남·여근석 종주코스」가 뜻있는 등산객들에게 회자되며,

경향각지에서 관악산·삼성산을 사랑하는 이들의 새로운 성지(性地) 코스가 될 것을 의심치 않는다.

 

 

「관악산·삼성산 5개 남·여근석 종주코스

 

일찍 나선다고 해도 출근시간과 겹쳐 지하철이 혼잡하니 직장인들에게 미안한 느낌이다.

그래도 아직은 무임승차할 나이가 아니니 떳떳한 마음을 갖는다.

 

관음사를 지나며 보는 관음봉은 국기봉을 지나 관음봉 정상에서 살짝 비껴 난 곳에 있다.

저 암봉에 한 번 가 본 뒤로 산행에 바빠 발길을 하지 않던 곳이다.

 

오늘은 저 관음봉을 한 번 둘러봐야겠다.

 

가을하늘이 공활하다 해도 도심의 상공은 차량 미세먼지에 생활미세먼지까지 겹쳐 뿌옇게 보인다.

알고 보면 생명을 단축시키는 숨막히는 도심이지만 누구나 저 공간에서 살아남으려고 몸부림친다.

이 산에 오르고 보니 모든 게 일장춘몽인 것을...

 

남산타워 뒤로 보이는 북한산이나 도봉산 방향도 미세먼지 층이 겹겹이 쌓였다.

 

드디어 관악산의 제1 국기봉인 관음봉에 오른다.

이왕이면 정상에 국기대를 설치할 것이지 왜 한 칸 밑에 설치했을까?

 

선유봉 능선의 국기대도 선명하게 보인다.

 

다른 위치에서 다시 잡은 관음봉 국기대

 

관음봉의 암봉을 보러 살짝 돌아 내려왔다.

오른쪽으로는 천길 낭떠러지라 내려가도 나무에 가려 사진으로 잡아낼 수 없다.

주변에서 사진만 찍고 암봉에 오르는 건 다음으로 미룬다.

 

다음 암봉을 바라보며 올라가야 한다.

 

지나온 관음봉이다.

 

 

길가에 살짝 숨은 거북바위 

거북이 머리를 귀두라 부르니 남성의 귀두와 연결되는 이상야릇한 내용을 학교에서 배웠다.

이 또한 오늘 산행하게 될 남·여근석 시작의 프롤로그에 해당한다.

얼쑤~ 좃쿠나...

·여근석 타령에 고수의 추임새가 더 신났다.

 

선유봉 국기대이다.

 

오른쪽은 선유봉 아래 천봉이다.

 

지난달에 다녀온 선유봉이 궁금하면...

 

관악산 선유봉-연주대-연주샘계곡

2023_141 2023. 9. 8. (금) 07:45~14:20, 6시간 35분 산행(휴식 2시간 포함), 10.1km 이동 지난번에 산행하려던 관악산 종주를 하는 날이다. 보통 들머리를 관음사로 잡지만, 이번엔 봉천동 마애미륵불좌상을

electee.tistory.com

 

선유봉을 지나면 금세 파이프능선으로 가는 길을 만나게 된다.

출입을 금한다는 안내판이 여럿 보이지만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구간이다.

개울을 건너 암봉을 밟고 능선에 들어서며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면 바로 보이는 바위가 남근석이다.

무심히 올라가면 그저 바위에 지나지 않아 그냥 지나치기 쉽다.

모처럼 파이프능선에 들어선 즐풍도 이쯤에 있을 텐데 하며 그냥 지나쳐 다시 되돌아왔다.

트랭글을 다시 보고서야 위치를 찾았을 땐 그저 웃음만 나온다.

남근석 인근에서 보는 건너편 능선의 바위에 빨간색을 옷을 입은 사람의 왼쪽에 와근석이 숨어 있다.

파이프능선의 남근석과 사당능선의 와근석은 지척에서 서로 분기탱천한다.

 

사당능선에서 하마바위를 지나 오른쪽의 저 통신탑을 통과하면 첫 번째 큰 바위군락을 만나게 된다.

그 바위 뒤에 와근석이 누워 있으니 보물찾기 하듯 잘 살펴야 보인다.

 

드디어 찾은 파이프능선 입구의 남근석

 

전에 찍은 좀 더 선명한 사진을 가져왔다.

 

파이프능선을 내려와 사당능선으로 바로 올라가는 데 길이 없다.

적당히 방향을 잡고 올라와 카메라를 들이대니 녀석은 拂알 두 쪽부터 보여준다.

근데, 넌 왜 그렇게 웃기게 누웠냐?

에이구, 그러니까 와근석이쥬....

이렇게 관악산의 숨은 명물인 남근석과 와근석 두 개를 모두 찾았다.

와근석은 이 바위 옆 소나무 뒤에 숨었으니 잘 찾아야 한다.

하마바위 방향으로 보이는 통신탑을 기준 삼을 것... 

 

오르려다 만 건너편 파이프능선의 암릉

 

관악문을 통과해 대한민국 지도를 본다.

 

관악산 정상의 기상 레이더가 있는 관측소가 보이니 정상까지 조금 더 힘을 내자.

 

횃불바위 

 

관악산 정상 조망하기 

 

솔봉의 이름을 안긴 소나무 

 

이제 솔봉도 지났으니 관악산 정상은 지척이다.

 

아직은 이른 아침이라 정상인 연주대에도 산객은 많지 않다.

 

 

 

주말이면 늘 북적이던 연주대도 서너 명만 있는 한산함을 보인다.

 

 

연주대 | 戀主臺 Yeonjudae Platform

경기도 기념물 Gyeonggi do Monument

 

연주대는 해발 629m 높이로 관악산의 깎아지른 듯한 바위 벼랑 위에 있는 대臺이다.

통일신라 문무왕 17년 677에 의상대사가 관악사를 창건하고 연주봉에 암자를 세웠기에 의상대라 하였으나,

지금은 연주대로 불린다.

연주대로 불리게 된 데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조선 개국 후 고려의 유신들이 이곳에서 망국의 수도였던 개경을 바라보며 그리워했다는 이야기와

세중대왕의 형들인 양녕대군, 효령대군이 왕위 계승에서 밀려나자 이곳으로 입산하여 경복궁을 바라보며

국운을 기원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곳 연주대 축대 위에는 현재 응진전應眞展이라는 법당이 있다.

법당 내부에는 석가여래 삼존불상이 모셔져 있고, 응진전 옆 암벽에는 인공의 감실을 마련한

마애약사여래입상이 조각되어 있다.  

 

Yeonjudae Platform is a flat, stone platform built atop a steep cliff of Gwanaksan Mt(629m above sea level).

It is said that when the monk Uisang (625~702) founded Gwanaksa Temple on Gwanaksan Mt in 677,

he built a hermitage here which came to be known as Uisangdae Platform.

The platform is said to have been called Yeonjudae since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is name means "Place of Longing for the King." There are two legends about the origin of this name.

According to one legend, after the Goryeo dynasty (918-1392) fell and the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the loyal subjects of the Goryeo kingdom looked toward and longed for the Goryeo capital,

Gaegyeong (today's Gaesong, North Korea, from this place.

According to the other legend, after King Sejong (r. 1418-1450) ascended the throne,

his older brothers Prince Yangnyeong(1394-1462) and Prince Hyoryeong(1396-1486) prayed

for the country's fortune here while looking toward Gyeongbokgung, the main palace of the Joseon dynasty.

Today, a Buddhist worship hall enshrining a Sakyamuni Buddha Triad stands atop the platform.

On the cliff next to the worship hall is a rock-carved depiction of Bhaisajyaguru, the Medicine Buddha.

                                                                                                                      (안내문)

 

 

의상대사가 세웠다는 의상대는 세월이 지나며 연주대에서 지금은 응진전으로 바뀌었다.

연주대는 이제 관악산 정상을 가리키는 일반명사로 바뀌었다.

 

말바위에서 바라보는 관악산 정상의 시원한 뷰가 멋지다.

 

이번엔 말바위를 한참 더 지나 어느 바위에서 정상을 잡아 보는 그림 역시 멋지다.

 

곰바윈지 소머리바윈지 이 바위 또한 멋지다. 관악산 정밀지도에는 소머리바위로 표기했다.

 

가까이서 잡은 소머리바위 

 

 

소머리바위 뒤의 암릉 

 

 

 

자운암능선

 

 

지난주에 다녀온 자운암능선이 궁금하면...  

 

관악산 정상에서 자운암능선으로 하산

2023_152 B 2023. 9. 22. (금) 07:47~14:59(7시간 12분 산행, 2시간 27분 휴식, 6.7km 이동) 맑음 아침 일찍 원주 형님과 함께 평창에 있는 선산을 다녀오려고 했는데, 응급상황이 발생했다. 어제 집에 온 손자가

electee.tistory.com

 

학바위능선으로 들어서며 제일 먼저 만나는 삿갓승바위 상단

 

중간 삿갓승바위도 잠시 올라본다.

 

아래쪽 삿갓승바위 

 

삿갓승바위에서 조망하는 관악산 정상

 

 

 

학바위능선을 오랜만에 타니 전혀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난다.

 

학바위로 진행하다 작은 단맥 끝의 멋진 암릉이 보여 내려가 보려 했으나 연결된 능선이 너무 멀다.

다음 기회로 미루고 다시 갈 길로 간다.

 

드디어 만난 학바위 국기대

 

 

 

학바위봉을 떠받치는 암봉은 거대한 바위 산이다.

 

바위 중간의 소나무가 구름이라면 저 바위는 구름을 뚫고 나온 암봉이다.

 

늠름하게 선 바위 

 

선바위의 실상은 이렇게 뒤로 숨은바위가 더 크고 육중하다.

 

지나가야 할 곳의 바위 

 

무너미계곡으로 내려가는 길에 만난 바위는 쓰러질 듯 위태롭다.

지난주 울릉도 통구미마을의 거북바위 일부인 400여 톤의 바위가 무너졌다.

한 달 살기 할 때 바로 숙소 앞이라 매일 보던 바위가 쓰러지는 걸 보고 가슴을 쓸어내렸다.

자주 거북바위를 돌며 애정을 갖던 곳이라 바위가 무너지는 화면을 보고 경악스러웠다.

 

이 바위 앞은 쓰러지지 않을 만큼 육중하게 큰 바위가 버티고 있다.

 

보랏빛 산부추 열매 

 

무너미계곡을 지나 삼성산 연화봉에 도착했다.

지난번에 저곳에 올라봤으니 오늘은 조망하는 것으로 끝낸다.

 

삼성산의 연화봉이 궁금하면...  

 

호암산 칼바위와 삼성산 연화봉

2023_136 2023. 8. 26. (토) 07:58~13:56, 6시간 산행(1시간 30분 휴식 포함) 11.9km 이동 엊그제 경기도 박물관에서 안양 중초사지에 있는 당간은 우리나라 신라시대의 당간 중 유일하게 건립시기를 알 수 있

electee.tistory.com

 

건너편 묘봉능선의 묘봉은 제2연화봉으로도 불린다.

 

저 묘봉이 궁금하면...  

 

삼성산 학우봉~정상~깃대봉~묘봉능선

2023_134 2023. 8. 21. (월) 07:56~13:46 오늘도 만만한 게 삼성산이라고 일단 삼성산으로 들어간다. 안양 예술의 공원으로 이미 세 차례 다녀왔으니 들머리를 바꾼다고 내린 곳이 관악역이다. 관악역에서

electee.tistory.com

 

연화봉을 본 후 관악산 정상도 조망한다.

저 능선을 타고 이곳 삼성산까지 넘어왔으니 이번 산행은 장거리 산행이다.

 

삼성산 표지석이다.

뒤로 보이던 더벅머리 총각처럼 어수선하게 보이던 건물과 철탑은 깨끗하게 밀어버렸다.

 

삼성산 표지석에서 조금 더 가 삼성산 국기대 못 미쳐 삼막사로 내려가는 길이 있다.

서두르는 바람에 길을 잘못 들어서서 한참을 돌아 삼막사를 만났다.

 

 

 

 

삼막사  三幕寺  Sammaksa Temple

전통사찰, Traditional Buddhist Temple

 

삼막사는 통일신라 시대의 원효 스님이 창건되었다고 전하는 고찰로, 화성 용주사의 말사이다.

1771년에 편찬된 『삼막사 사적기」 등에 따르면, 원효·의상 두 분 스님과 윤필 거사가 삼성산에서 초막을 치고

수도한 후 원효 스님이 삼막사를 창건했다고 한다.

경내에 있는 '삼막사 사적비'에는 신라 원효 스님이 창건하고 도선국가 중건하여 관음사라고 했던 것을

고려 태조가 중수하여 삼막사라고 고쳐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삼막사에는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삼막사 마애삼존불과 삼막사 삼층석탑, 삼막사 사적비, 경기도

민속문화재인 삼막사 남 · 녀근석이 있고, 삼막사 명부전은 경기도 문화재사료로 지정되는 등

역사가 깊은 사찰답게 많은 불고 문화유산이 남아있다.

이 중 삼막사 삼층석탑은 고려가 몽고군과 치열하게 다투었던 용인 처인성 전투(1292년)에서 적장 살리타를

전사시킨 승병장 김윤후의 전공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라고 전한다.

이후 고려 후기에는 나옹화상, 지공선사(자공선사는 인도의 승려) 등이 삼막사에 머물면서 사찰을 크게

중창하였다고 한다.

조선 후기에 와서는 1707년에 삼막사 사적비를, 1788년 삼막사 마애삼존불을, 1784년에 마애삼존불에 칠성각을,

1880년에 삼막사 명부전을 건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881년에는 칠성각을 중건하는 등 조선 후기에도 불사가 계속되었다.

근대에는 삼막사에 은거하던 지운영이 꿈에서 만난 관음보살로부터 '거북 귀龜 자'를 받아 이것을 세 개의

각기 다른 모양으로 바위벽에 새긴 삼막사 삼귀자(안양시 향토문화제)를 조성하기도 하였다.

이후에도 삼막사는 명왕전, 망해전, 천불전 등의 전각들을 세우는 등 전통사찰로서 긴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

 

 

Sammaksa Temple, generally believed to have been founded by the great Buddhist thinker, Wonhyo(617-686),

during the Southern-Northern Dynasties (or Unified Silla) period, is one of the subordinates of Yongjusa

Temple in Hwaseong.

According to The Chronicles of Sammaksa Temple (Sammaksa Sajeokgi) compiled in 1771,

the temple was founded by Wonhyo after his stay as an ascetic at Samseongsan Mountain together with

two fellow truth seekers, Uisang and Yunpil; whereas,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on the Commemorative

Stele of Sammaksa Temple, the temple was founded by Wonhyo, renovated by State Preceptor Doseon

(827-898), and renamed as Sammaksa (from Gwaneumsa) after its renovation by King Taejo (r. 918-943)

of Goryeo.

Sammaksa Temple is also home to a number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s designated as

Provincial Tangible Cultural Heritages of Gyeonggi-do, such as the Rock-carved Buddha Triad and

the Three-story Stone Pagoda of Sammaksa Temple, as well as the Commemorative Stele of

Sammaksa Temple, various stones resembling male and female genitalia collectively designated

as a Provincial Folk Cultural Heritage of Gyeonggi-do, and Myeongbujeon Hall,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a Provincial Cultural Material of Gyeonggi-do.

The Three-story Stone Pagoda of Sammaksa Temple was built to honor the achievements of Kim Yun-hu

(fl. early 13th century), a monk warrior who killed the Mongol commander Salieta at the Battle of Cheoinseong

in Yongin, when Goryeo troops clashed fiercely with the Mongol forces that invaded Goryeo in 1232.

Sammaksa Temple underwent major renovation work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when great monks such

as Naong and Dhyanabhadra were staying at the temple.

Sammaksa Temple continued to expand in the late Joseon period with the construction of new prayer halls and monuments, including the commemorative stele set up in 1707, the Rock-carved Buddha Triad (1763),

Chilseonggak Shrine (1784; renovated in 1881), and Myeongbujeon Hall (1880).

The temple's list of heritage items increased in the twentieth century, too, as shown by the triple inscrip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gwi (fL, meaning "turtle") carved on a rock by Ji Un-yeong, a named artist who was

living as a hermit at the temple at the time.

It is said that Ji dreamed that he received the character "gwi" ft) from Avalokitesvara.

Several shrines devoted to Buddhist deities, such as the Myeongwangjeon, Manghaejeon,

and Cheonbuljeon Shrines, were also built during this period. (안내문)

 

 

삼막사의 대법당인 천불전

 

 

 

삼막사 제일 위쪽에 있는 칠보전 앞 남·여근석의 여근석이다.

어제저녁에 소나기가 내렸어도 오늘은 이 계곡이 건조하게 말랐다.

 

남근석은 크고 작은 남근 두 개가 붙어 있다. 여근석을 앞에 두고 힘 자랑하는 느낌이다.

 

 

삼막사 남녀근석 | 三幕寺  Phallic and Vulvar Stones of Sammaksa Temple

경기도 민속문화재 제3호

Gyeonggi-do Folklore Cultural Heritage No. 3

 

남녀의 성기(생식기)를 각각 남근, 여근이라고 하고, 이를 담은 바위를 남근석• 여근석이라고 부른다.

바위나 나무가 자연적으로 남근• 여근 모양을 띄기도 하고, 일부러 그런 모양이 되게 만들기도 한다.

삼막사 남녀근석은 밑에서부터 높이 솟아오른 바위 위에 자연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남녀근석을 만지면 순조롭게 출산하게 되고,

여기에 가문의 번성과 무병장수를 빌면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부처님 오신 날인 음력 4월 8일과 칠석인 음력 7월 7일에는 각지에서 사람들이 찾아와 치성을 드린다.

종종 남근에 동전이 붙여진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그렇게 하면 아들을 얻는다는 이야기에 따른 것이다.

남근과 여근은 생명을 탄생하게 하는 신비로운 것으로,

사람들은 이미 선사 시대부터 이것들이 다산과 풍요를 가져다준다고 믿어 승배해 왔다.

이 남녀근석은 신라 원효대사가 이 절을 창건하기 전부터 숭배 대상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삼막사 남녀근석 숭배는 바로 옆에 있는 '삼막사 마애삼존불'을 대상으로 하는 칠성신과 함께 

불교가 다산과 아들 출산을 기원하는 민간 신앙과 결합하여 공존해 왔음을 보여준다. (안내문)

 

Phallic and vulvar stones are objects of folk worship.

They are either a natural stone that resembles genitals or an artificial sculpture made in the shape of genitals.

The male or female genitals represent the origin of life, and these stones have been worshipped to wish for

fecundity and prosperity.

These stones are said to have been worshipped by the locals even before the foundation of Sammaksa Temple

in the 7th century.

People offer prayers here for good fortune and the longevity of their family members.

Also, it is believed that touching these stones would bring safety in childbirth,

and attaching a coin to the phallic stone is believed to ensure the birth of a son.

Next to these stones is Chilseonggak Shrine, which enshrines a rock-carved triad of Tejaprabha Buddha.

Tejaprabha is a personification of Polaris and is believed to control longevity.

The juxtaposition of these stones and the shrine shows the integration of local folk beliefs and practices into

Korean Buddhism.   (안내문)

 

 

마애삼존불을 감싸며 올린 칠보전에 들어가고 싶었으니 쉬지 않고 절을 드리는 분이 계셔서

조금 기다리다 그분에게 방해되지 않게 떠난다.

 

칠보전 안에 모신 마애삼존불이 궁금한 분을 위하여 '22.9.2.에 찍은 사진을 대신 올린다. 

 

삼성산 삼막사의 남녀근석까지 벌써 네 개의 미션을 마쳤다.

나머지 가장 직관적인 남근석을 보기 위해 삼성산 깃대봉으로 방향을 튼다.

 

깃대봉 입구를 막은 암봉

 

삼성산 깃대봉의 국기대이다.

이 국기대를 그대로 질러가면 삼성산을 내려가는 구간이 시작된다.

 

삼성산 제2연화봉으로도 불리는 묘봉 

 

깃대봉에서 직진하면 암장이 있는 절벽 앞으로 통과하게 된다.

암방바위가 보이면 길을 제대로 찾은 것이다.

 

뭔 소나무 껍질이 종잇장처럼 얇게 생긴 게 보인다.

흔치 않게 붉은색이 아름다운 특이한 표피라 찍어 본다.

 

 

 

작은 봉우리에 이 바위까지 통과하면 마지막 미션은 그리 멀지 않다.

 

찌그러진 얼굴 바위가 남근석에 눈독을 들이는 과객이 불쌍하게 보이나 보다.

지그시 눈을 감고 모른 척하는 모습이라니... 

 

이 능선의 안부에 들어서면 오른쪽으로 내려가는 삼거리가 보인다.

여기서 직진으로 잠깐 오르면 바위가 여러 개 보이는 데 그 우측에 살짝 숨었다.

이런 직관적인 모습을 보이기는 부끄러운 게지..

 

마지막 미션을 해결하며 마지막 목표는 서울대에서 낙성대로 가는 마을버스 02를 타야 한다.

 

 

이렇게 관악산과 삼성산에 산재한 남녀근석 5개를 모두 찾아냈다.

관악산·삼성산의 11국기봉 종주에 20km, 남 · 녀근석 5개 미션 수행에 14km가 소요된다.

국기봉보다 6km가 짧지만 자운암과 학바위 국기대를 오르내리려면 영혼이 탈탈 털리는 고난의 행군이다.

그에 비해 한결 쉬운 남근석·여근석 구간을 새롭게 개발했으나 이 역시 쉽지 않다.

그러나 재미있는 미션이니 용기와 재미를 갖고 도전할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