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박물관/박물관·전시관·성지·국보 등

국립중앙박물관 황하黃河에서 꽃핀 예술 중국관

by 즐풍 2024. 2. 25.

2024_43

 

 

2024. 1. 18. 목요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우리나라 유물 외에도 이집트, 로마, 그리스, 메소포타미아. 일본, 인도 등

많은 나라의 유물이 전시된다.

가까운 중국이나 일본 등은 쉽게 나갈 수 있겠지만, 박물관까지 별도로 가기는 어렵다.

다른 나라의 유물이 궁금할 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시간을 보내는 게 최고다.

세계사 시간에 중국이나 일본은 우리와 인접한 나라라 다른 나라에 비해 더 많이 배운다.

그렇다고 해도 수박 겉 핥기식이니 여느 나라와 마찬가지로 생소하기는 마찬가지다.

이렇게 전시된 이웃 나라의 유물을 정리하다 보면 새로운 사실을 하나둘 배우게 된다.

 

안내문을 옮기는 것으로 설명을 대신한다.

 

 

 

황하黃河에서 꽃핀 예술 Flourishing Culture of the Yellow River Region

 

중국은 황하 문명을 기반으로 성장했으며, 광활한 영토에 여러 민족의 흥망성쇠가 거듭되면서 다채로운 문화가 전개되었다. 하夏나라(기원전 21~기원전 16세기) 하夏나라(기원전 21~기원전 16세기)를 시작으로 상나라(기원전 16~기원전(기원전 16~기원전 11세기) 주周나라(기원전 11세기~기원전 476년)에 이르러 국가의 틀이 마련되었고, 정치적 혼란기였던 춘추전국春秋戰國시대(기원전 770~221년)에는 새로운 가치와 규범을 제시하는 제자백가 등장으로 사상과 학문이 꽃을 피운다. 중국 최초의 통일 왕조 진秦나라 (기원전 221~206년)와 그 뒤를 이은 한漢나라(기원전 206~기원후 220년)는 도량형과 문자를 통일하고 정치사회 제도를 재정비하며 통합을 이루었다.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시대(220~589년)에는 인도에서 전래된 불교가 융성하여 중국 전역에 사찰과 석굴사원이 조성되기 시작했다. 중국의 불교 사상과 미술 양식은 아시아 전역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당唐대(618~907년)에는 외래문화가 적극 수용되어 국제적인 성격의 문화가 융성하며 금속공예품과 당삼채가 특히 발달하였다. 송宋대 (960~1279년)에 이르면 전국의 가마에서 각기 개성을 살린 도자기들이 다양하게 생산되어 중국 도자문화가 크게 발전한다.

한편 자연의 위대함을 이상적으로 표현한 산수화와 함께 시서화詩書畫의 예술이라 부르는 문인화文人畫가 태동하여 원元대(1271~1368년)에는 복고적 문인화풍으로 이어진다. 명대(1368~1644년)에는 고상한 취향의 문인화가 유행하고 궁정 화원 畫院 소속 직업화가들의 활동이 활발했으며, 청淸대(1644~1911년)에는 서양화풍이 유행하면서 더욱 다채롭고 개성 있는 회화 세계가 펼쳐진다.

 

The roots of Chinese civilization formed around the vast territory of the Yellow River, where many different ethnic groups rose and fell, establishing the diverse cultures of modern-day China. The first dynasty in Chinese history was the Xia dynasty (21st-16th century BCE), which was then followed by the Shang and Zhou dynasties of the Bronze Age.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the Warring States period (770-221 BCE) was a time of great conflict and political chaos, which also saw the rise of numerous philosophers and scholars who developed astute ideologies and a culture of scholarship. The Qin dynasty (221-206 BCE) emerged to become the first Chinese empire, but was quicklyoverthrown by the Han dynasty (206 BCE-220 CE), which established standardized units, measures, and written characters, while also reorganizing the nation's political and social systems.

From roughly the 3rd to the 6th century CE, the Wei dynasty, Jin dynasty, an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witnessed a flourishing of Buddhism following its introduction from India. Numerous Buddhist temples and grottos were built throughout the country, and Chinese Buddhist philosophy and art began to exert a strong influence on neighboring countries. By actively conducting foreign exchange, the Tang dynasty (618-907) developed a vibrant international culture, highlighted by superb metalcrafts and the distinctive tri-olored sancai pottery. In the Song dynasty (960-1279), kilns throughout the nation produced ceramics with unique features, some of which were adorned  with landscape paintings ideally representing the magnificence of nature. This period also saw the first appearance of literati painting, which took on its distinct contemplative style in the ensuing Yuan dynasty (1271-1368). Appealing to the refined tastes of scholars, literati painting remained popular during the Ming dynasty (1368-1644), when professional painters affiliated with the "Bureau of Imperial Painting" also produced many masterpieces. Finally, during the Qing dynasty  (1644-1911), the introduction of Western styles led to the diversification and enrichment of Chinese painting.  

 

 

중국 고대문화

 

중국 고대 문명은 신석기시대의 채도彩陶와 옥기玉器, 청동기시대의 갑골문과 청동기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채도는 정착 생활과 농경이 시작되면서 생산되었으며, 도기 표면에는 동물무늬나 기하학무늬 등이 표현되었다. 옥기는 지배 계급의 상징물로써 주술적인 의미를 가졌으며 장신구 구실을 했다.

청동기는 고대국가 형성과 함께 제작되기 시작하여 주로 상나라와 주나라 때 제기와 식기, 무기 등으로 제작되었다. 왕과 제후무덤에서는 부장품으로 매장된 다양한 청동기가 발견되는데 신분계급에 따라 청동기의 매장 수량이 달랐다. 또한 청동그릇에는 사람 이름과 관직명,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금문金文이 새겨져 있어서 당시의 사회 상황을 알 수 있다.

 

 

박산단지 博山樽 Boshan-shaped liquor container Pottery with yellow glaze

한漢(기원전 206~기원후 220년), 1918년 구입

 

박산은 중국 전설에 나오는 바다 가운데 신선이 살고 있다는 산이다. 한나라 사람들은 선인의 가르침을 얻고자 한다면 반드시 선경仙境을 지어야 한다고 믿었다. 건물 대신 선산仙山의 형상으로 향로를 만들고 향으로 천지신명과 소통하고자 했다. 박산향로는 한나라 신선사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박산향로 博山香爐  Boshan-shaped incense burner Pottery with yellow and brown glaze

동한 東漢(25~220년), 1918년 구입 

 

 

나팔 모양 술잔 觚 Wine beaker

상 후기 商後期(기원전 13세기~기원전 11세기),  2004년 구입 

 

아가리가 나팔 모양으로 벌어지고 굽다리가 있는 술잔이다. 신석기시대는 토기로 제작했고 굽다리가 아닌 평평한 바닥이었다. 청동기로 제작되면서 굽다리로 변화했다. 상나라까지는 굽다리에 십자형 구멍이 있는데, 이 구멍은 안쪽과 바깥 거푸집을 합칠 때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기 위해 진흙 덩어리를 끼워 놓았던 흔적으로 청동기 제작 기술이 발전하면서 없어졌다. 술 따르는 의식인 관례祼禮 때 사용한 술잔으로 세발 술잔(爵)과 세트로 서주 전기까지 사용되었다.

 

 

술병 - 호壺(Hu) (기원전 10세기~기원전 11세기)

 

고대에 술을 담던 병이다. 청주淸酒 또는 예주醴酒를 담던 것으로 때로는 물을 담기도 했다는 기록이 있다. 물을 담았던 병은 급호汲壺라고 불렀다. 목이 길며 배가 불룩하고 굽다리가 달린 것이 기본 형태이며 대부분 뚜껑이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표주박형, 원형, 타원형, 납작형, 방형 등 그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상나라 전기부터 한나라 때까지 청동기로 제작되었다.

 

 

곡식 담는 그릇 簋 Steamed food serving vessel(Gui)

서주 전기 西周期(기원전 11세기~기원전 10세기), 접수 348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1945년 구입 

 

기장, 벼, 조 등 곡식을 담는 그릇이다. 상나라 초기에는 몸통이 불룩하고 손잡이가 없었으나 점차 발전하여 몸통 양쪽에 손잡이가 달리기 시작한다. 서주시기(기원전 11세기~기원전 771년) 제기의 사용이 제도화가 되면서 제작 수량이 많아지고 형태도 다양해졌다. 서주시기에 고기 삶는 세발솥(鼎)과 함께 사용자의 신분을 알려주는 중요한 예기禮器로 사용되었다.

 

 

수레 끄는 소 도용 彩繪車牛俑 Ox statue Painted pottery

당庸(618~907년), 1920년 구입 

 

이해를 위한 그림

 

 

무덤을 지키는 무관 도용陶俑  Tomb guardian warrior statue Painted pottery

당唐(618~907년), 본관 7849, 1920년 구입

 

진묘무관용은 묘실의 입구를 수호하거나 네 귀퉁이에서 발견되는데 일반적으로 무덤에 부장 되는 일반 무사 또는 병사 도용과 비교하여 생김이 다르고 키가 크다. 변관(弁冠, 중국에서 무관이 머리에 쓰던 투구)을 쓰고 부리부리한 눈과 콧수염이 있어 흉악하고 무섭게 보인다. 대좌 위에 서 있고 폭이 좁은 윗도리에 짧은 소매의 겉옷을 입고 있다. 손을 동그랗게 말고 있어 무언가 쥐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원래의 형태를 알 수 없지만 목제 무기로 추정된다.

 

 

도용陶俑

 

진 · 한대에는 많은 부장품을 함께 묻는 후장厚葬제도가 유행하면서 지배층 무덤의 부장품 종류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한대 이전 무덤에서는 옥기, 청동그릇 등의 예기禮器와 실생활에 사용된 토기, 무기, 마구류들이 주로 출토된 반면, 한대 이후 무덤에서는 인간의 감정이나 생활상을 표현한 인물과 동물 도용이 다수 출토되었다. 또한 당대에는 무덤을 지키는 용도로 채색이 화려한 삼채 진묘수, 말, 낙타 등을 함께 매장하였다.

 

 

시기·지역별 요에서 출토된 도기

 

 

경덕진요 景德鎭 窯 Jingdezhen kiin  

 

경덕진요는 장시성(江西省) 경덕진景德鎭에 위치하며 오대부터 청자와 백자를 생산하였다. 송대에는 경덕진에는 '영청影靑'이라고 불리는 청백자를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원대에는 청백자에서 벗어나 난백유卵白釉 백자가 등장하고, 아울러 백자의 전성기를 이루는 청화백자가 제작되기 시작한다. 명·청대에는 청화백자가 대세를 이루면서 투채鬪彩 , 오채五彩, 분채紛彩 , 법랑채琺瑯彩 등의 채색 자기彩色磁器 제작이 활발해진다. 

 

 

 

 

자주요 磁州窯

 

자주는 송·원대의 대표적인 민간 운영 가마로 허베이성(河北省) 츠현(磁縣)에 위치한다. 자주요 자기 제작법의 특징은 흰 바탕에 검은 선으로 그림을 그리는 백지흑화白地黑花 장식기법으로 허난성과 산시성 등에서도 이런 방법으로 자기를 제작했다. 자주요의 도자기는 일반 서민들이 사용했다. 자주요의 바탕흙은 정요 백자의 것과는 달리 거칠고 조잡하며 짙은 색을 띤다. 접시, 대접, 병, 항아리, 베개 등이 생산되었다. 

 

 

 

 

정요 定窯

 

정요는 송대 5대 명요名窯의 하나로 지금의 허베이성(河北省) 취양현(曲陽縣) 일대에 있었다. 당대에는 백자만 생산하였으며송대에는 백자를 주로 생산하면서 흑유黑釉 갈유褐釉, 녹유綠釉 자기도 생산하였다.  북송 후기에 도장 등으로 무늬를 찍는 인화印花 기법이 등장하여 바탕흙이 마르기 전에 접시나 대접 안쪽에 도구를 이용해 무늬를 찍어 장식하였다.

 

 

 

 

월요 越窯

 

월요는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가마로 저장성(浙江江) 일대에 위치한다. 당대에 월주越州에 속해 있어 월요 또는 월주요라고도 한다. 월요에서는 동한東漢 말기에 처음 청자를 제작하기 시작하였고, 당대에 이르러 독특한 풍격을 이름으로써 남방 청자의 대표적인 가마가 되었다. 우리나라 초기 청자의 원류로 추정되는 '옥벽저완玉壁低碗'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참외모양 주전자, 꽃모양 대접과 접시, 잔받침 등이 유명하다.

 

 

 

 

고깔모자를 쓴 소그드인 도용 三彩塞人俑

당唐(618~907년), 2004년 구입

 

소그드인은 중국 전국시대부터 중앙아시아에 있었던 유목민족이다. 지위가 비교적 높은 자가 이러한 형태의 고깔모자를 썼고 점차 시베리아지역이나 흉노족도 즐겨 쓰게 되었다. 그러나, 당나라 사람들은 한족漢族과 다른 높은 코와 큰 눈을 가진 이국적인 모습의 소그드인을 마부, 하인 등의 도용으로 제작하여 무덤에 부장 하였다.

 

낙타 도용 三彩駱駝俑 Camel statue Pottery with three-glaze

당唐(618~907년), 1997년 구입

 

낙타는 당대에 새롭게 등장한 도용이다. 당대 실크로드가 번영하고 무역이 성행하면서 말과 함께 상업용으로 낙타가 대량 수입되었기 때문이다. 실크로드를 오가던 중앙아시아 지역의 쌍봉낙타는 운송수단뿐만 아니라 그 이국적인 모습 때문에 당시 중원지역에서 크게 환영받은 동물이었다. 낙타 도용은 보통 높이가 약 1m로 머리를 쳐들고 활보하는 모습이거나 제자리에 서 있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말 도용 三彩馬俑 Horse statue Pottery with three-glaze

당唐(618~907), 2003년 구입

 

당대唐代 초기 나라에서는 공납, 매매, 전쟁 등을 이유로 주변 여러 나라에서 5천여 마리의 말 70여 종을 수입하였다. 이 중 서역지방에서 수입된 아라비아계통의 말은 작은 머리에 다리가 가늘고 길어 주로 의장용으로 사용되었다. 무덤에는 주로 삼채로 제작하여 함께 묻었다.

삼채는 8세기 당나라 때부터 제작한 도기로 태토에 함유된 철분으로 인하여 색이 변하게 되는 성질을 이용했다. 이 말도 중앙아시아를 통하여 수입된 코발트 안료를 사용한 보기 드문 예이다. 우윳빛의 유약과 매우 조화롭게 근육을 표현한 조형미가 돋보인다.

 

 

말 도용 彩繪馬俑 Horse statue Painted pottery

남북조 南北朝(420~589년), 2005년 구입 

 

말은 오랜 기간 사람과 가장 밀접한 동물 중의 하나로 도용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무덤에 부장 되었다. 따라서 말 도용은 시대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남북조시대는 외국 말이 본격적으로 수입되기 전으로 다리가 짧은 토종 말의 모습으로 제작되어 무덤에 매장되었다. 말에 장착했던 도구와 장식 등이 잘 표현되어 있어 당시 말갖춤을 연구할 수 있는 자료이다.

 

 

불비상佛碑像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이래 새로운 형태의 조형물인 불비상이 등장했다. 불비상의 기본 형태는 네모난 돌에 불상과 명문을 새긴 것으로 중국의 전통적인 비碑에 종교적 숭배대상인 불상이 더해진 형식이다. 중국의 비碑가 지배계층을 위한 것이었다면 불비상 제작에는 지배계층뿐만 아니라 민간인들도 발원자로서 참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불비상은 마을 입구, 주요 교차로, 사원 등 대외적이고 공적인 장소에 주로 세웠으며, 조상의 안녕을 기리고 공덕을 쌓는 역할을 했다.

이곳에 전시된 네 점의 중국 불비상은 북위北魏와 당唐대에 제작된 것으로 대체로 석가불이나 아미타불, 미륵불이 묘사되어 있고, 일부에는 공양자상과 조상기造像記가 새겨져 있다. 이처럼 불비상은 당시 유행했던 불교 도상에 발원자의 염원을 담아 이들의 신앙과 바람을 대외적으로 널리 알리고자 했다.

 

 

불비상 佛碑像 Buddhist stele

북제北齊(550~577년), 1916년 구입

 

다양한 군상이 빽빽하게 묘사된 북제北齊(550-577년)의 불비상이다. 앞면에는 앉아 있는 불상을 중심으로 나한과 보살, 신장이 주위에 둘러 서 있고 상단에는 꽃줄을 든 천인과 보탑이, 불상 아래에는 향로와 사자, 인물상이 조각되어 있다. 뒷면은 2단으로 된 감실에 오존불과 반가사유상이 새겨져 있다.

다양한 상들로 가득 채워져 구도가 복잡하고 세부 표현은 다소 번잡하지만, 부피감이 살아 있는 인물 묘사나 허리를 살짝 비튼 보살의 삼곡 자세는 눈길을 끈다. 앞면 하단의 명문에는 재주齋主 등 읍의 주요 인물 명단과 공양주供養主 등이 “부모님을 위하여 한마음으로 부처를 모신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불비상 佛碑像 Buddhist stele

복제北齊(550-577년), 1916년 구입

 

앞면은 상단에 오존불을 중단에는 불비상이다. 높이가 162cm에 이르는 비교적 큰 북제 역사를 새겼고, 가장 윗부분에는 보탑과 천인을 조각했다. 중단의 역사는 자연스러우면서도 힘찬 모습이다. 뒷면은 상단에 용 장식과 오존불을 새기고, 중단에는 4개의 감실에 각각 삼존불 三尊佛을, 하단에는 향로와 사자, 인물상을 표현했다. 가장 아래에는 불비상에 조각된 각각의 상을 공양한 사람의 이름을 새겼다. 불상은 다소 경직된 모습이지만 사자는 예스럽고 소박한 느낌을 준다.

 

 

불비상佛像 Buddhist stele

당唐 (618-907년)

 

당 현경 5년(660년)에 고만해 일가족이 발원한 불비상이다. 육감적이고 사실적으로 표현한 불상과, 보살상은 전형적인 7세기 당대 불상의 특징을 보여 준다. 앞면 상단에는 의자에 앉은 자세의 불상과 협시보살이 있고 그 위로는 보탑과 천인天人이 있으며, 중단에는 2개의 감실에 오존상을 묘사했다. 뒷면 상단에는 용 장식이, 중단에는 삼존불과 나무를 새겼다. 명문銘文은 앞면의 하단과 중단의 감실 사이에 새겨져 있는데, 고만해가 돌아가신 부모님을 위해 형수와 처, 조카, 아들, 딸 등 일가친척이 힘을 모아 불비상을 조성했다는 내용이다.

 

 

불비상 佛碑像 Buddhist stele

북위北魏(386-534년), 1916년 구입

 

북위(386-534년) 영안永安 2년(529년)에 조성된 불비상이다. 꼭대기 부분은 서로 얽혀있는 용 4마리로 장식했고 상단에는 삼존불과 발원자의 관직명이중단에는 공양자상그리고 하단에는 함께 발원한 이들의 이름을 새겼다공양자상 사이에 명문이 있는데영안 2년에 국왕과 칠세부모를 위하여 만들었다고 적혀 있다이 불비상은 마을의 신앙 공동체인 음의 구성원인 개씨와 양씨왕씨 등을 포함하여 100명이 넘는 발원자가 함께 조성한 것이며, 10여 명의 주요 공양자는 말을 타거나 일산日傘을 쓴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죽림칠현’이 새겨진 칠쟁반 朱漆竹林七賢圖大盤 

Tray with seven sages in bamboo forest design Carved red lacquer

명明(1368~1644년), 2010년 구입

 

섬세한 문양으로 장식된 사각 주칠 쟁반이다. 여러 번 칠을 하여 표면을 두텁게 한 후 무늬를 새기는 조칠 기법으로 만들었다. 접시 가운데에는 위魏나라 말 부패한 정치권력에 등을 돌리고 죽림竹林에 모여 거문고와 술을 즐기며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낸 은자隱者 일곱 명의 모습을 담은 죽림칠현竹林을 표현하였다. 죽림칠현도는 명대明代 후반에서 청대淸代 초기에 크게 유행했는데, 인물보다는 산수 배경을 강조한 구도가 특징이다.

 

 

‘대청건륭년제’가 새겨진 칠합 朱漆大淸乾隆年製銘盒 

Covered box with inscription of '大淸乾隆製’ Carved red lacquer

청(1644-1911년), 2010년 구입

 

이 칠합은 다양한 제작 기법과 기교로써 최상의 화려함을 표현한 청대 공예품이다. 조칠彫漆 기법으로 만들었으며, 여러 번 칠한 칠층漆䁬의 색감 변화로 입체감과 화려함을 극대화했다.

뚜껑 윗면 중앙에는 칠보七寶가 담긴 화분의 오색찬란한 기운 위로 커다란 '春' 자가 있고, 글자획 위로 소나무 아래 복숭아를 든 신선과 사슴이 표현된 원을 배치하였다. 굽바닥에 ‘大淸乾隆年製대청건륭년제'가 새겨져 있어 이 합이 청나라 건륭 연간(1735-1796)에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금도금 은상자 銀製鍍金方盒 Silver box

당唐(618~907년), 2002년 구입

 

 

사자 보상화 무늬 은접시 銀製獅子寶華文盤 Silver plate with lion and floral medallion design

당唐(618~907년), 2005년 구입

 

 

길상무늬 납작 병白磁靑畫八吉祥文扁甁

Flattened bottle with auspicious pattern design Porcelain painted with cobalt blue under transparent glaze

청淸(1644~1912), 2004년 구입

 

병의 배 부분이 둥근달처럼 볼록 튀어나와 편병이라고 부른다. 배 부분에 보상화를 둘러싸고 있으며 꽃잎 하나하나에는 길상무늬인 바퀴, 소라, 깃, 산, 꽃, 병, 물고기, 매듭이 그려져 있다. 몸체 바탕의 가장자리는 회문文을 두르고 옆면은 넝쿨무늬로 장식했다. 청대 건륭乾隆(1737~1795) 연간에 제작되었다.

 

 

녹유호 綠釉壺 Jar Porcelain with green glaze

요遼(916~1125년), 2003년 구입

 

유목 민족이 말을 타고 이동할 때 사용한 가죽 물통을 모방하여 만든 병으로 말안장 모양이다. 전체적으로 녹색을 띠고 유약이 엷게 박락되었다. 원통형 입에 뚜껑이 있으며, 끈을 달 수 있도록 2개의 구멍을 뚫어 놓았다. 각각의 구멍에는 사람이 표현되었고, 몸통 부분에는 음각陰刻으로 꽃잎을 표현했다. 요대遼代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접시 彩色磁 Plate Porcelain painted with color under transparent glaze

청淸(1644~1911년), 2003년 구입

 

 

강두홍유豆紅釉

 

청나라 강희康熙(1662-1722) 연간에 유행한 붉은색 도자기 유약을 말한다. 분홍색 바탕에 짙은 붉은색 반점이 있거나 짙은 붉은색 바탕에 옅은 붉은색 반점이 있는 붉은 콩과 색이 비슷하여 '강두홍유'라고 부르는데, 제작이 어려워 황실의 문방용처럼 특별한 물품에만 사용했다.

 

 

 

세계를 매혹시킨 청화백자 靑畵白磁

 

경덕진의 청화백자는 원나라 때부터 도약적인 발전을 이룬다. 무역의 경로인 실크로드를 따라 수입된 코발트, 경덕진의 질 좋은 백자 원료와 유약의 생산으로 아름다운 청화백자가 제작되었다. 우수한 원료와 다양한 제작 기술의 개발로 명·청대 경덕진의 청화백자는 중국 내에서 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코발트 안료를 사용하여 붓으로 무늬를 그린 후 투명한 유약을 바른 것으로, 흰 바탕에 푸른색의 무늬가 강렬한 색상대비를 이룬다.

 

 

白磁靑畫山水文盤 

Dish with landscape design Porcelain painted with cobalt blue under transparent glaze

청淸(1644~1911년), 2003년 구입

 

산과 물이 잘 어우러진 자연 속에서 스승과 제자가 서로 마주하고 있다. 접시 바닥에 마치 한 폭의 산수화처럼 자연을

입체적으로 표현했다. 청나라 강희(1622-1722) 연간에 만들었다.

 

 

청화백자 석류과일 白磁靑畫花果文注子 

Ewer with floral and fruit design Porcelain painted with cobalt blue under transparent glaze

명明(1368~1644년), 2003년 구입

 

눈처럼 흰 백자 표면을 청화로 장식한 주전자이다. 넓은 입과 가는 목, 불룩한 몸통과 화려한 손잡이가 특징이다. 주전자 전체에 파초무늬, 연꽃 넝쿨무늬 등을 장식했다. 청화안료를 붓에 찍어 섬세하게 무늬를 그려 넣고 투명한 유약을 입혀 구워 냈다.

 

 

명·청 회화

 

명·청대에는 송·원대의 전통회화를 계승하면서 다양한 화파와 화법이 새롭게 등장한다. 명대 초기에는 송대 회화의 전통을 따르는 절파浙派가 궁정과 민간에서 활약했고, 중기 이후에는 원대의 문인화를 계승한 오파吳派가 소주蘇州 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청대 초기에는 '사왕四王'이라고 불리는 왕시민王時敏, 왕감王鑑, 왕원기王原祁, 왕휘王翬가 문인화의 정통을 잇는 반면에 반청의식을 지닌 네 명의 승려화가 팔대산인八大山人, 석도石濤, 곤잔髡殘, 홍인弘仁 등은 개성적인 화법을 창조했다.

청대 중기 이후에는 주요 활동 지역의 이름을 딴 양주팔괴揚州八怪, 안휘파安徽派, 금릉 팔까金陸八家, 상해화파上海畫派, 영남화파嶺南畫派 등의 화파별 화가들이 활발히 활동한다. 또한 서양화법이 소개되어 전통적인 중국화 재료에 서양화의 투시법, 명암법을 구사하는 동서 융합의 화풍이 출현하기도 한다.

 

 

 

 

가을과 겨울 산수 秋景·冬景山水 Autumn and winter landscapes

(위) 마원 (1189-1225년 활동), 명明(1368~1644년), 비단에 먹과 채색絹本彩色, 2003년 구입 

 

마원의 자는 요부이고, 호는 흠산이다. 남송의 화원에서 활약한 화가로 증조부 때부터 7명의 화가를 배출한 유명한 화가 집안에서 자랐다. 마원은 이러한 가문의 대를 이어 화가를 직업으로 삼았고 가풍을 배우면서도 웅장한 자신만의 독창적인 화풍을 발전시켰다. 이 두 작품은 가을과 겨울을 나타낸 산수도이다. 왼쪽의 가을 장면은 선비가 두 명의 동자를 거느리고 달을 바라보며 잔을 들고 있고, 오른쪽의 겨울 장면은 동자를 거느린 선비가 깊은 산속으로 눈 속에 핀 매화를 찾아 나선 모습이다.

마원의 산수화는 화면전체를 채우기보다는 한쪽에 치우쳐 그리는 독특한 구도가 특징이고 높이 솟아 오른 산과 거친 바위, 여러 방향으로 뻗은 나무를 잘 표현하였다. 이 작품도 기본적인 구도와 멀리 보이는 산들의 윤곽, 시적인 정취를 자아내는 표현 등 마원의 화풍을 보여주고 있지만, 원경의 높은 산이 크고 비중 있게 그려진 점은 마원의 작품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화면 왼쪽 하단의 "마원" 서명도 친필로 보기는 어려워 명나라 초기 마원의 화풍을 따른 직업화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The painter Ma Yuan used the courtesy name Yaofu and sobriquet Qinshan. Active at the Southern School in China, Ma was born into a family famous for producing seven painters starting since his great-grandfather. Carrying on the family's fame, he entered the painting profession as well. While learning the family custom, he also developed his own majestic and distinctive painting style.

This pair of hanging scrolls shows landscapes in autumn and winter. The autumn landscape on the left features a lofty scholar accompanied by two boy attendants gazing at the moon with a cup in his hand. The winter landscape on the right shows another scholar searching the deep mountains for plum blossoms in the snow.

The landscape paintings of Ma Yuan are characterized by distinctive lopsided compositions that do not fill the entirety of the picture plane. Soaring mountains, rugged rocks, and trees stretching in several directions are all skillfully delineated in his paintings. These two paintings present Ma's style, marked by lopsided compositions, outlines of mountains in the distance, and expressions evoking a poetic mood. However, the large and soaring mountains in the background, taking up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composition, differ from his other works. Moreover, the signature "Ma Yuan" in the lower left of each painting does not resemble Ma's handwriting. Accordingly, these two paintings are presumed to have been created by a professional painter in the early Ming dynasty following the painting style of Ma Yuan.

 

 

 

괴석과 장미 배경의 고양이

심전 沈銓(1682~1762년 이후), 청淸 1733년, 비단에 먹과 채색 絹本彩色, 2009년 구입

 

심전은 저장성(浙江省) 우씽(吳興, 지금의 후저우湖州) 출신으로 호는 남빈南瀕이다. 명대 궁정 화조화가인 여기呂紀의 화풍을 계승하여 세밀한 필치와 선명한 색채로 길상의 의미가 담긴 화조화를 잘 그렸다.

이 작품은 1733년 심전이 일본에서 귀국하기 직전에 그린 것으로 괴석怪石과 장미를 배경으로 고양이 한 마리가 방아깨비를 물고 있다. 괴석은 먹을 퍼지게 하는 발묵潑墨기법으로 그렸고, 장미는 분홍색의 꽃과 짙은 녹색의 잎을 대비시켜 표현하였다. 바닥의 수풀은 가벼운 필치로 그렸고, 고양이는 매우 꼼꼼한 필치로 털의 부드러운 질감을 나타내었다.

심전의 화조화는 대부분 길상의 의미를 담고 있는데, 이 작품에 묘사된 괴석과 장미, 고양이는 모두 장수를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다. 장미는 한자로 장춘화長春花라 하여 영원한 젊음이라는 의미가 있으며, 고양이의 한자인 묘猫(mao)는 80, 90세의 고령을 뜻하는 모耄 (mao)와 중국어 발음이 유사하여 역시 장수를 뜻한다.

 

 

꽃과 원앙 花鳥鴛鴦 Flowers and mandarin ducks

辛亥九月南鐵汶(신해구월남빈심전사), 신해년(1731년) 9월남빈 심전이 그리다.

심전沈銓(1682-1762년 이후), 浦 1731년비단에 먹과 채색, 2009년 구입

 

작가 심전은 1731년 일본으로 건너가 약 2년간 체류하며 일본 화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 궁정 화가로 이 작품은 일본에 가기 직전 그린 것이다. 화면 중앙의 복숭아 종류인 듯한 나무와 그 아래 장미 모두 꽃이 만개해 있고, 위에는 백두조白頭島 두 마리가 서로 마주 보고 울고 있으며 아래 개울가에는 원앙 두 마리가 함께 물을 응시하고 있다.

치밀한 화면의 구성과 정교한 필치 모두 명대 궁정 화조화풍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백두조와 장미 [長春花], 복숭아나무는 장수를 의미하고, 원앙은 부부애를 나타낸 것으로 모두 길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눈 속의 꽃과 새

 

 

용모양 손잡이 병 白釉雙龍雙耳甁 Stoneware jar with dragon-headed handles

당唐(618~907년), 김홍남 기증 

 

 

경태람 향로 銅製 景泰藍 香爐 Chinese cloisonne enamel Incense burner

청淸(1644~1911년),  김홍남 기증, *경태람은 법랑 기법의 한 종류

 

 

산수 山水 Landscape

이사달 李士達(1573~1620 활동), 1610년, 종이에, 김홍남기증, 복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