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국립공원 탐방/경주권

세계문화유산인 토함산의 석굴암 탐방

by 즐풍 2023. 5. 30.

2023_71

출처_문화재청

 

 

2023.4.2. (일) 오전에 잠시 탐방

 

 

불국사를 감동과 환희에 가득 찬 채 둘러보고 난 뒤 바로 석굴암으로 이동했다.

주차장에서 석굴암 가는 계단 위로 불국대종각에 들려 1,000원을 내고 타종했다.

1인 1타가 원칙이나 뒤에 올라오는 사람이 없어 한 번 더 타종했다.

이렇게 모금한 돈은 불우이웃 돕기와 소년소녀 가장 돕기에 사용된다니 좋은 일이다.

 

타종 후 약 600여 m를 걸어 석굴암에 도착했다.

지난번과 달리 이번엔 누구나 석굴암으로 들어갈 수 있으나 사진촬영은 엄격히 통제한다.

사진이야 석굴암 홈페이지나 문화재청에서 얼마든지 구할 수 있으니 문제는 없다.

1,270여 년 전의 작품이 석굴 안에 있어 풍화되지 않은 온전한 작품을 보게 된다.

 

 

 

 

예술과 과학기술의 총체적 실현으로 평가되는 석굴암(石窟庵)의 신비 

석굴암은 불국사와 함께 오늘날 한국에서 첫 손꼽히는 명승고적으로, 통일신라시대 조형미술의 대표작이다. 

국보 제24호인 석굴암은 건축·수리·기하·종교예술·과학기술의 총체적 실현이라 평가되며, 

1995년 12월에 불국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석굴암에 적용된 수리과학

 

석굴암 본존불의 위치와 크기, 벽면에 부조화된 불상들의 배치, 원형의 주실(主室) 모양이나 천장을 이루는 

돔(Dome)의 구조 등 석굴암의 조형이나 불상 배치를 살펴보면 치밀한 수리과학이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석굴암은 좌우가 철저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었는데,

이는 고대 조형미술의 기본원칙이기도 하지만 석굴의 시지각적 안정감에 기여하고 있다. 

석굴암에는 정사각형과 그 대각선의 사용, 정삼각형과 수선(垂線)의 사용, 정확한 원의 작도, 

정확한 곡률의 구면 사용, 원에 내접하는 정육각형 사용, 등할(等割)의 사용 등이 엿보인다. 

이는 모두 건축학적으로 시지각적인 안정감을 주는 비례구도로서, 

궁극적으로 석굴암의 아름다움을 빚어내고 있다. 

천개석의 위치나 본존 뒤 광배(光背)의 위치, 채광에 이르기까지 수학적인 비례에 근거하여 

참배자를 배려한 석굴암 조형에는 놀라운 수리과학이 적용되었음을 찾아볼 수 있다.


본존상에 나타나는 구체적인 비례를 보면 다시 감탄이 나온다. 석굴암 본존불상의 얼굴 너비는 2.2자, 

가슴 폭은 4.4자, 어깨 폭은 6.6자, 양 무릎의 너비는 8.8자로서 1:2:3:4의 비율을 보여준다. 

여기서 기준이 되는 1.1자는 본존불상 자체 총높이의 10분의 1이다. 10분의 1이란 비율은 

로마신전 건축가 비트루비우스의 <건축서>에 나오는 균제비례(Symmetry)로서, 본존불상 자체를 1로 

보았을 때 10분의 1이라는 균제비례가 석굴암의 본존상에 적용되었던 것이다. 

 


석굴암의 건축학적 독창성

 

석굴암을 역학적 관점에서 볼 때 주목할 것은 원형 주실의 천장이다. 

세계 유일의 인공석조건축인 석굴암은 고도의 축조기술이 적용되었는데, 

특히 설계와 시공의 탁월성이 극적으로 나타나는 부분은 천장이다. 

돔형에 360개의 판석으로 교묘하게 구축된 천장은 꼭대기에 연화문을 새긴 원판을 덮개돌로 하여 

천개로 삼고 있는데, 무게가 무려 20톤에 이른다. 

석굴암의 천장 구조는 돔형 구조라는 기본 틀에 쐐기돌이라고 하는 특이한 ‘무게의 균형장치’를 더하여 

돔형 구조의 약점을 보강한 특이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쐐기돌은 돔형의 천장 밖으로 길게 나와 있어 지렛대 역할을 함으로써, 

윗돌이 아랫돌에게 전하는 힘을 상쇄한다. 

이것이 바로 석굴암이 자랑하는 독창성이다. 

따라서 석굴암의 천장 구조에 있어서는, 

아랫돌이 먼저 무너지지 않는 한 돌이 따로 아래로 떨어질 수 없게 되어 있는 것이다. 

 


석굴암을 지켜온 고대과학의 비밀


석굴암에는 온도차 때문에 생기는 석상 표면의 결로(結露) 현상을 막기 위한 과학적인 조치가 갖추어져 있는데, 

바로 절묘한 통풍 및 온도조절 장치이다. 

석굴암 주실의 10개 감실들은 그것을 받치고 있는 밑의 벽석보다 두껍게 되어 있어서 

감실과 감실을 받치고 있는 벽석(이맛돌) 사이에는 틈이 존재하고, 

이를 통해서 공기가 유통되면서 석굴암을 환기시키고 있는 것이다. 

또한 석굴암의 공기순환 장치로는 광창(光窓)을 들 수 있다. 

이밖에 석굴의 외벽에는 직경 십수 센티미터의 돌들이 석자나 쌓여 있었다고 기록에 나온다. 

이 돌들은 얼기설기 얽혀 곳곳에 공기를 함유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자갈층을 통해 공기가 쉽게 드나들 수 있었다. 

따라서 석실 내부는 언제나 뽀송뽀송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지하수를 석굴암의 본존불 대좌 밑바닥의 암석기초층을 관통하여 흐르도록 해 바닥의 온도를 

벽면의 온도보다 낮춤으로써 불상 표면의 결로를 방지하였던 것이다.



20세기 중수(重修)와 현대과학의 맹점


석굴암은 1910년대 조선총독부와 1960년대 우리 정부에 의해 두 번 보수되었는데, 

모두 ‘개악’ 한 것으로 여겨진다. 

석굴암은 갖가지 비책에 의해 공기 맑은 대자연 속에서 호흡하면서 1200년이란 긴 세월을 살아왔다. 

그러나 20세기의 현대인과 현대과학은 강제로 석굴암을 거대한 유리관(콘크리트 외벽과 이중 돔) 속에 

눕혀 놓고, 산소호흡기(냉온방습도조절기)를 끼워 놓았다. 

오만한 현대인이 현대과학이라는 서투른 치료법으로 석굴암을 중환자 취급하여 병상에 눕혀 놓은 것이다. 
석굴암을 원형 그대로 복원해야 한다. 선조들의 놀라운 지혜를 통해 자연 속에서 스스로 생명력을 얻었던 

그 시절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 
                                                                                               이성규 / 인하대학교 인문학부 객원교수

 

 

 

 

 

ㅁ 경주 석굴암 석굴 (慶州 石窟庵 石窟)


석굴암은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대상이었던 김대성이 창건을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에 완성하였으며, 건립 당시에는 석불사라고 불렀다. 

신라 중기의 경덕왕(742∼765 재위) 대에 신라의 불교예술이 전성기를 이루게 되는데, 

석굴암 외에도 불국사, 다보탑, 삼층석탑, 황룡사종 등 많은 문화재들이 이때 만들어졌다. 

토함산 중턱에 백색의 화강암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석굴을 만들고, 

내부공간에 본존불인 석가여래불상을 중심으로 그 주위 벽면에 보살상 및 제자상과 역사상, 

천왕상 등 총 40구의 불상을 조각했으나 지금은 38구만이 남아있다. 

석굴암 석굴의 구조는 입구인 직사각형의 전실(前室)과 원형의 주실(主室)이 복도 역할을 하는 

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360여 개의 넓적한 돌로 원형 주실의 천장을 교묘하게 구축한 건축 기법은 

세계에 유례가 없는 뛰어난 기술이다. 

석굴암 석굴의 입구에 해당하는 전실에는 좌우로 4구(軀)씩 팔부

신장상을 두고 있고, 

통로 좌우 입구에는 금강역사상을 조각하였으며, 좁은 통로에는 좌우로 2구씩 동서남북 사방을 수호하는 

사천왕상을 조각하였다. 

원형의 주실 입구에는 좌우로 8각의 돌기둥을 세우고, 주실 안에는 본존불이 중심에서 약간 뒤쪽에 안치되어 있다. 

주실의 벽면에는 입구에서부터 천부상 2구, 보살상 2구, 나한상 10구가 채워지고, 

본존불 뒷면 둥근 벽에는 석굴 안에서 가장 정교하게 조각된 십일면관음보살상이 서 있다. 

원숙한 조각 기법과 사실적인 표현으로 완벽하게 형상화된 본존불, 얼굴과 온몸이 화려하게 조각된 

십일면관음보살상, 용맹스러운 인왕상, 위엄 있는 모습의 사천왕상, 유연하고 우아한 모습의 각종 보살상, 

저마다 개성 있는 표현을 하고 있는 나한상 등 이곳에 만들어진 모든 조각품들은 동아시아 불교조각에서 

최고의 걸작품으로 손색이 없다. 

특히 주실 안에 모시고 있는 본존불의 고요한 모습은 석굴 전체에서 풍기는 은밀한 분위기 속에서 

신비로움의 깊이를 더해주고 있다. 

지극히 자연스러운 모습의 본존불은 내면에 깊고 숭고한 마음을 간직한 가장 이상적인 모습으로 

모든 중생들에게 자비로움이 저절로 전해질 듯하다.

석굴암 석굴은 신라 불교예술의 전성기에 이룩된 최고 걸작으로 건축, 수리, 기하학, 종교, 예술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더욱 돋보인다. 

석굴암 석굴은 국보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석굴암은 1995년 12월 불국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공동 등재되었다. 

한편, 현재 석굴암은 내부 전면 공개 관람 시 항온항습 등의 문제가 우려되어 1976년부터 유리벽을 통한 

외부관람을 실시하고 있다.

                                                                                                                (출처_문화재청)

 

 

먼저, 석굴을 만들고 그 안에 본존불인 석가여래불상을 안치했을 것이다.

이어서 주위 벽면에 차례로 보살상과 제자사 등의 작품을 배열한 뒤 

흙을 덮어 거대한 봉분처럼 만들며 석굴을 마무리했을 것이다.

 

 

 

ㅁ 석굴암 본존불 

 

석굴암 본존불인 석가여래좌상(釋迦如來坐像)이다. 

높이 약 3.4미터의 거대한 불상이다. 

연화좌(蓮花座) 위에 부좌(趺坐)하였고, 

화강석으로 조각했으며 수법이 아주 정교하며 장중한 기운이 넘치는 세계 석굴의 걸작이다.

옷의 주름은 생동감이 있고 전체에는 생명감이 넘친다. 

가늘게 뜬 눈을 통해 깨달음의 깊이를 느낄 수 있으며, 엷은 미소를 띤 입술, 

풍만한 얼굴은 근엄하고 자비로운 표정을 느끼게 한다. 

오른손은 무릎에 걸친 채 검지 손가락으로 땅을 가리키는 항마촉지인(降摩觸地印)을 하였고, 

왼손은 선정인(禪定印)을 하고 있다.

석가모니가 큰 깨달음을 얻은 모습을 표현했기에 성도상이라고도 한다.   (출처_석굴암)

 

 

 

 

 

이렇게 멋지고 과학적인 구조라면 한 번 정도는 들어가 보고 싶다.

국립경주박물관의 신라미술관에 가면 석굴암의 십일면관음보살상 등의 복제품을 만든 게 있다.

경주박물관의 어느 공간에 석굴암 전체의 복제품을 만들어 일반에 공개해도 좋겠단 생각이 든다.

즐풍 생각은 좀 삼박한 아이디어 같은 데...

 

 

예배자의 위치를 감안해 본존불 뒤로 보이는 광배가 두상 뒤로 배치되게 만들었다.

이 석굴암을 만든 사람은 미켈란젤로만큼이나 과학적이고 수학적인 두뇌를 가진 분이 틀림없다.

 

 

ㅁ 십일면관음보살十一面觀音菩薩

십일면관음보살상은 바로 본존 부처님의 뒷면 둥근 벽의 중앙을 차지하고 똑바로 서있다. 

그 어느 조각보다 정교하게 조각되어 석굴 안에서도 가장 중요한 본존 부처님 바로 뒤에 

배치된 이 조각의 양식적 특성은 무엇보다 머리 위에 작은 아홉 개의 얼굴이 있고 

그 위에 다시 한 관음이 있어서 본체와 합하여 십일면이 있는 관음보살님이란 점이다. 

긴 몸에 섬세하게 표현된 천의와 온몸을 덮고 흐르는 영락(纓珞)은 정교한 

귀걸이나 목걸이 등과 더불어 그 화려함을 더하고 있다. 

 

                                                                          (출처_석굴암)

 

 

ㅁ 천부상과 보살상

 

주실인 원굴에 들어서면 좌우의 천부상 다음에 보살입상이 배치되어 있다. 

첫 번째 안치된 부처님은 제석이며 그 반대쪽은 범천이다. 

이 천부상은 모두 매우 사실적인 묘사에다 세련되고 우아한 작풍을 보인다. 

천부상 다음으로 좌우 벽에 새겨진 보살상은 왼쪽이 문수, 오른쪽이 보현보살상이다. 

보현보살상은 연꽃무늬의 대좌 위에 서서 누군가에게 권하는 찻잔을 들고 있으며 

몸을 굴 안으로 향하였다. 

문수보살상은 왼손에 경권을 들고 오른손은 내려져 있다. 

천부상과 더불어 이들 보살상은 석굴에서 가장 뛰어난 걸작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출처_석굴암)

 

범천, 문수보살, 보현보살

 

 

ㅁ 팔부신중八部神衆 

 

팔부중 또는 천룡팔부 등으로도 부르는 불법을 수호하는 신중들의 상으로, 

전실의 좌우 벽에 각 각 4구씩 배치되어 있다. 

전실 입구 오른쪽부터 가루다·건달바·천·마후라가 왼쪽은 아수라·긴나라·야차·용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루다상은 인도의 새벽 태양의 신이 불교에서 불법을 설하는 곳의 수호신으로 

표현되는 신중상이다. 

석굴암에서는 두꺼운 옷을 입고 신을 신고 있는 입상으로 표현되었다. 

왼손에는 삼지창을 쥐고 있고, 두 귓가에는 날개 모양이 분명하게 표현되어 있다. 

이들은 본실의 조각들보다 후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두 번째의 마후라가는 인도의 수호신 격이었던 것이 불교에서 팔부신중으로 자리매김되었다.

왼손에는 검을 들고 있고, 오른손에는 군지를 들고 있다. 

세 번째의 야차의 상은 인도에 데바 신으로 불교의 팔부신중상의 하나로 자리한다. 

석굴암의 천 상은 두광은 화염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두 손은 가슴께에서 수인을 결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옷주름이 두껍게 표현되어 있다. 

네 번째 데바가 상은 뱀을 상징하는 신으로 땅속의 마귀를 진압하는 신중이다. 

석굴암에서는 오른손으로 칼을 들고 있고, 왼손은 자연스레 구부려서 손바닥을 하늘로 향하고 있다. 

좌측 제1상인 아수라 상은 인도의 악의 신이었으나 불법에 귀의하여 신중의 자리를 점하였다. 

석굴암에서는 현재 머리와 발 부분의 부재는 결실된 형태로 남아있으나, 

3면의 얼굴과 여섯 개의 팔의 특징은 잘 남아 있다. 

옷주름은 가벼운 천을 두른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 

좌측 두 번째 상인 긴나라 상은 본래 악사의 기능을 담당한 신이었다가 팔부신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군복을 입은 모습에 왼손에 삼차극 무기를 들고 있으며 머리를 기른 상으로 단정한 형태로 서 있다. 

좌측 세 번째 건달바 상은 인도 신화에서는 악신이었으나 불교에서는 부처님의 수호신으로 위치한 신중이다. 

석굴암에서는 머리 위에 사자를 두르고 있으며, 가슴께는 밧줄을 감고 있는 입상의 형태이다. 

좌측 네 번째 나가 상은 본래 비와 바람의 신으로, 불교의 수호신으로 위치하고 있다. 

석굴암에서는 머리에 용을 두르고 있으며 왼손에는 보주를 쥐고 있다.

                                                                                                                        (출처_석굴암)

 

 

 

ㅁ 십대제자 

 

석굴 후벽 중앙에 십일면관음상을 안치하고 그 좌우에 곧이어서 각각 5구씩 

나한(羅漢) 입상을 배치하였는데, 그중 왼쪽에 있는 십대제자상이다. 

석가여래의 제자 중에서 이름이 높은 수제자 10인을 말하는 것으로 전해지는데, 

각양각색의 모습을 하고 있는 이들 나한상은 동양에서도 첫째로 꼽을 만큼 

훌륭한 부조상을 하고 있다. 

 

십대제자상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이들 얼굴의 다양한 표현이다. 

긴 얼굴에 각기 다른 골상을 보이는 서구적인 모습의 이들 제자상은 모두 

머리를 깎았으며 큰 코에 야윈 얼굴을 하고 있다. 

자세 또한 정면 또는 측면의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의상의 모양도 서로 다르다. 

경권, 향로, 정병 등 각기 손에 들고 있는 것에도 차별이 있어 여러 가지의 특색을 보인다.

                                                                                                          (출처_석굴암)

 

 

 

ㅁ 사천왕四天王

 

전시로가 주실을 연결하는 통로의 좌우벽에 배치되어 있다. 

수미산의 사방을 관장한다는 천왕으로 동방 지국천왕, 서방 광목천왕, 남방 증장천왕, 북방 다문천왕으로 부른다. 

전실 입구를 기준으로 왼쪽에는 앞에 남방 증장천왕, 뒤쪽에는 서방 광목천왕이 배치되어 있으며, 

오른쪽에는 앞에 북방 다문천왕과 뒤쪽에 동방 지국천왕이 배열되어 있다.

 

이들 사천왕은 모두 악귀를 발로 밟고 있는 형상으로 서 있는데, 동방천왕은 두 손으로 칼을 들고 있으며 

입은 굳게 다물고 있다. 

북방천왕은 얼굴을 북쪽으로 돌린 표현에 왼손은 옷자락을 쥐고 있고, 오른손은 위로 들어 보탑을 받치고 있다. 

남방천왕은 검을 양손에 들고 있는 모습이 동방천왕과 유사한 자세이나 발아래에 있는 악귀의 모습이 

엎드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서방천왕은 오른손은 가슴께에 두고 왼손은 검을 쥐고 있는 자세이다. 

얼굴 부분이 따로 제작되어 있어 후대에 보수된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_석굴암)

증장천왕, 광목천왕&nbsp; /&nbsp; 다문천완, 지국천왕

 

ㅁ 금강역사金剛力士 

 

석굴암 금강역사(金剛力士)는 석굴암 입구에서 주실로 들어가는 좌우에 자리 잡고 있다. 

금강역사의 역동적인 자태는 이름 그대로 힘이 넘쳐흐른다. 

옷매무시나 문양에서 보이는 정교함은 다른 석굴암 조각물과 비교했을 때 많은 차이점이 있다. 

두드러지게 양각이 강조된 것은 전반적으로 압도감을 느끼게 한다. 

상신과 하신의 구분된 의상은 근육을 더욱 강조하고 현실감을 느끼게 만든다. 

조각물의 기법은 제작자의 의도와 일치한다. 

석굴암 제작 당시의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작자의 예술적인 감각과 

작품에 대한 열정과 노력은 높이 사야 할 것이다. 

                                                                                    (출처_석굴암)

 

 

 

ㅁ 감실 

 

석굴 주벽상의 위쪽에는 남북과 동으로 각각 5개의 반구형 감실이 배치돼 있다. 

석굴과 잘 조화되어 그 아름다움을 더한 이 감실은 동시에 공간의 확대효과도 

느끼게 해주고 있다. 

대부분 보살상인 이 감불좌상은 본존불의 바로 전방과 그 후방인 십일면관음상의 

상면만을 피하고 그 나머지 벽면에 배치되어 하늘과 땅과의 중간에서 

이 석굴의 영광과 장엄을 찬미하고 환희하는 것 같다. 

조각 또한 주위의 벽에 있는 다른 여러 상에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 우수한 작품이다.

                                                                                                                                (출처_석굴암)

 

 

 

요즘 카카오가 맛이 갔는지 오후 내내 작업해도 올라가지 않는다.

겨우 임시저장만 가능한 것도 다행이라 여길 만큼 감사해야 할 판이다.

다음과 카카오가 분리되면 다음은 살아날 수 있을까?

티스토리의 앞날이 걱정스럽다.

 

 

 

 

 

이 글이 안 올라가기에 복사를 떠 새로 만드니 올라간다.

이게 무슨 일이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