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국가지질공원 탐방/그외 국가지질공원

세계문화유산이자 국가지질공원인 고창 갯벌

by 즐풍 2023. 1. 8.

2022_236

 

 

 

2022.10.14. (금)  오후에 잠시 탐방

 

 

전북 고창에서 한 달 살이를 하며 느낀 것은 서해안의 갯벌이 바다처럼 넓다는 것이다.

지난 10월 10일에 포스팅한 사등마을 갯벌체험을 올린 것으로 충분히 증거가 된다.

그때 동죽이란 조개를 캐러 경운기를 타고 나간 거리가 무려 5km에 달한다.

바다 건너 변산국립공원이 바로 코앞이었다면 믿을까?

 

고창의 대부분 지역은 갯벌이 바다만큼 넓다.

사등마을의 갯벌이나 하전마을 갯벌도 오늘 둘러보게 될 고창갯벌의 일부 구간에 속한다.

이렇게 넓은 갯벌은 지역주민들에게 아낌없이 바지락이나 동죽, 백합, 꽃게 등을 끊임없이 선사한다.

해안에 살며 이런 수산물을 채취한다는 건 힘들지만 화수분처럼 계속 생활비를 버는 셈이다.

 

 

 고창의 사등마을 갯벌이 정말 궁금하면...

 

그대, 경운기 타고 바다를 가르며 달려본 적이 있는가?

2022_180 2022.9.28 (수) 오전 작업 어제 바다에서 건져 올린 꽃게 그물망의 게 따기 작업을 할 때 함께 생활하는 젊은 친구가 꽃게 그물을 건져 올릴 때 함께 작업하고 싶다고 하니 흔쾌히 허락하신다

electee.tistory.com

 

 

 

□ 국가지질공원인 고창갯벌

 

고창갯벌은 서해안을 대표하는 곰소만 갯벌의 일부로서 평균 조차가 약 4m 이상인 대조차 환경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서해안 갯벌은 캐나다의 동부해안, 미국의 동부해안, 북해연안 및 아마존강 유역과 더불어 

세계 5대 갯벌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 하전 갯벌이 포함된 곰소만 갯벌은 우리나라 전체 갯벌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크지 않지만 

갯벌 전문가에 의해 가장 본격적으로 연구된 갯벌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과거부터 최근까지도 국내외 해양지질 국제저명 학술지에 지속적으로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이런 세계적인 고창갯벌은 습지보호지역인 람사르습지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의 핵심지역,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하전 갯벌이나 만돌 갯벌은 갯벌체험학습장을 운영하고 있어 전국적인 갯벌 생태체험 학습 명소이기도 하다.

이곳은 전국 최대의 갯벌 바지락을 생산하면서 어촌체험 우수마을로 선정될 정도로 갯벌 생태 관광지로서

도시와 어촌 간 교류가 활발한 관광 친화적인 어촌문화를 가꾸어 가고 있다.

                                                                                                                      (출처_국가지질공원)

 

 

계명산

 

이 계명산은 해발 28.9m의 낮은 봉우리로 '닭울음산'이란 뜻이다.

산은 낮아도 갯벌에 솟았기에 봉우리에 오르면 주변인 만돌마을 일대에 한눈에 들어온다.

만돌마을에서 닭이 울면 중국에서도 들린다는 이야기가 있다.

 

고창갯벌엔 다양한 저서생물이 살고 있다.

게만 보더라도 한쪽 발이 큰 농게, 모래구슬을 잘 만드는 엽낭게와 달랑게,

밤톨을 닮은 밤게, 꽃게와 민꽃게, 무리 지어 사는 칠게 등등...

 

 

안내문에는 이 지역에서 이미 1,500여 년 전 자염을 만들었다고 한다.

자염은 바닷물을 가마솥에 넣고 끓여 소금을 만드는 것이다.

이곳에서 가까운 고창 선운사를 창건한 검단선사는 백제와 신라의 끊임없는 전쟁으로 생긴

전쟁 피란민들에게 바닷물을 끓여 자염 만드는 법을 전수한 것이다.

바닷물은 큰 웅덩이에 가둔 뒤 어느 정도 증발시켜 염분 농도를 높인 후 가마솥에서 끓이는 일은

무척이나 고된 일이다.

지금이나 그때나 바닷가에 흔한 소나무를 싣고 와 밤낮없이 불을 때야 한다.

이렇게 구운 자염은 요즘 만드는 천일염보다 훨씬 맛이 좋다고 한다.

지금도 이렇게 자염으로 만든 소금은 맛이 보장되는 만큼 천일염보다 훨씬 고가에 거래된다.

 

 

갯벌에 물이 빠졌다고 해도 6시간 정도 잠긴 물이 빠지면 갯벌에 남았던 물이 고랑으로 흘러간다.

이렇게 생긴 고랑을 갯골이라고 한다.

 

고창갯벌 전망대

 

 

 

전망대 위에는 계명산과 가깝다고 일찍 우는 닭 조형물이 설치됐다.

 

 

고창갯벌은 워낙 갯벌이 넓다 보니 해안의 수심이 낮아 항구로 개발하기 힘들다.

이곳에서 가까운 동호항만 하더라도 썰물 땐 갯벌이 드러나 갯골이 생기므로 큰 배를 띄울 수 없다.

그러니 주로 작은 배로 연안어업에 의존할 정도다.

 

계명산 아래 갯벌체험센터 

 

 

 

해수욕장은 아니라도 여름철 만조 때 이곳에서 잠시 쉬어가도 좋다.

썰물에는 바닷물이 너무 멀리 나가 바닷물까지 들어가려면 정말 한 시간은 족히 걸어야 한다.

그러니 해수욕장으로서의 매력은 별로 없지만 곰솔 그늘은 좋다.

 

 

 

 

 

 

 

 

 

 

 

 

 

 

 

 

 

외죽도

 

만돌마을 계명산에서 직선거리로 2.7km 떨어진 칠산바다의 작은 섬이다.

큰 섬은 대죽도, 작은 섬은 소죽도이다.

썰물 때는 경운기나 트랙터를 이용하거나 걸어서 들어갈 수도 있다.

 

 

 

 

 

위 안내문을 보면 삼양염전은 간척을 마치고 염전개설 인가를 받아 1948년부터 천일염을 생산했다.

이러한 염전은 1954년까지 계속되었으나 지금은 중국산 저가 천일염에 밀려 염전은 거의 사라졌다.

작년부터 일본에서는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한 오염수를 방출한다는 뉴스로

갑자기 천일염이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다.

이미 천일염 대부분은 태양열 집열판을 설치해 더 이상 천일염 생산도 어려운데, 이일을 어찌할꼬...

 

 

 

 

숙소로 돌아와 석류나무에서 벌어진 석류를 따 먹어본다.

특유의 신맛이 자꾸 입에 당긴다.

북쪽에서는 슈퍼에서나 살 수 있던 석류가 이곳엔 제법 많이 보인다.

이런 걸 보면 겨울에도 춥지 않은 남쪽 바닷가에서 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