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국립공원 탐방/속리산

속리산을 헤매고 산수유릿지로 하산

by 즐풍 2019. 6. 27.

 

 

 

 

 

2019.03.09. 토 09:58~17:33(전체 시간 07:35, 전체 거리 14.48km, 휴식 시간 42분)  다소 흐림

 

 

갈령에서 시작해 형제봉-천왕봉-신선봉-문장대로 이어지는 속리산 백두대간 코스가 눈에 들어온다.

형제봉은 경험하지 않은 코스라 가는 김에 문장대까지 간 후 산수유릿지로 내려올 생각이었다.

하지만 거리가 너무 먼데다 산수유릿지 코스만 해도 대략 1시간 50분 정도의 험로라 시간이 부족하겠다.

 

거리를 줄여 장각폭포 쪽에서 올라간다 해도 이미 다녀왔기에 시들한 느낌이라 산행을 포기할 생각이었다.

그런데 주변 산을 보니 가까운 곳에 청화산, 조항산이 보인다.

청화산은 블랙야크 100대 명산 마지막 산이라 속리산행 버스를 타고 청화산을 다녀와야겠단 결심을 한다.

 

휴게소에서 대장과 얘기를 해보니 버스는 A코스인 갈령에서 내린 후 장각폭포로 하산하는 C코스 회원을 기다린다고 한다.

장각폭포에서 회원을 데리고 오후 5:40에 화북분소로 하산하는 A코스 회원을 태우고 귀경한다니 예상과 틀어지게 됐다.

할 수 없이 소백산 산수유릿지를 탈 생각에 시간을 줄여야 하니 장각폭포에서 혼자 오르기로 한다.

 

 

 

속리산 등산코스

 

 

 

 

속리산 최고봉은 천왕봉에서 시작한 개울물이 장각동 계곡을 굽이쳐 흘러 6m 높이의 절벽을 타고 떨어져 작은 연못을 이룬다.

주변 소나무숲과 암석 사이로 흐르는 맑은 물이 한 용소로 깊숙이 떨어지니 이것이 바로 장각폭포다.

수량이 많아 산천을 진동하고 수십 장 애안 아래 검푸른 용소는 그 깊이를 알 수 없다.

낙수의 여파로 빙글빙글 돌고 있는 수면을 보고 있으면 금방 용이라도 오를 것 같은 느낌을 준다.

폭포 위에는 금란정(金蘭亭)과 노송이 고색창연하게 서 있어 그 풍경의 조화야말로 무궁하며 산, 폭포, 정자가 한 폭의 그림이다.

폭포 위에 세워진 금란정은 "주위에 두 사람이 마음을 같이하면 그 이로움은 쇠붙이도 끊을 수 있고 마음을 같이 한다는 말은 그 냄새가 난보다 향기롭다."

라는 뜻이라 한다.

장각폭포와 금란정은 사극 "무인시대, 불멸의 이순신", 영화 "낭만자객" 촬영 장소이기도 하다. (안내문)

 

장각폭포와 금란정의 조화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보물 제683호)

이 석탑은 이중기단 위에 7층의 몸돌을 형성한 일반형 석탑으로 높이는 9.2m이다.

상하 기단은 여러 장의 판석으로 짜였으며 상층 기단 덮개 돌에는 얇은 부연이,

초층 몸돌 동쪽 면은 문호를, 각층 몸돌 양쪽에는 모서리 기둥을 세웠다.

지붕돌의 아랫면 받침은 5단이나 위층으로 올라가면서 4단으로 줄였다.

하층 기단은 하대석 없이 중석과 덮개돌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기단은 전형 양식에서 벗어난 것이다.

기단 구성이 특이하고 각 부의 비례가 불균형인 점으로 보아 건립 연대는 고려 중엽으로 추정된다.

무너져 방치되어 있던 것을 1978년 원형대로 복원하였다. (안내문)

 

 

 

전에 이쪽 코스로 두 번이나 올랐어도 장각폭포에서 오르는 길은 이 길이 맞나 싶을 정도로 등산로엔 이정표가 잘 설치되지 않았다.

이정표가 없으면 그냥 길을 따라 쭉 오르면 되겠지만 그래도 초행자나 오랜만에 다시 오는 사람은 좀 불안하다.

한참을 오르다 전에 다니던 길 같은 곳을 막아놓고 왼쪽으로 다리를 놓았다.

다리를 건너 좀 오르다 보니 오른쪽 계곡 사이로 멋진 암봉이 보여 다시 내려가 암봉을 찾으러 떠난다. 

초반엔 이렇게 길이 잘 보인다.

 

 

이런 다래나무 건너 작은 폭포도 보이고, 간혹 고로쇠나무에서 수액을 받는 곳도 보인다.

 

 

얼마큼 들어서자 이내 길은 흔적도 없고 계곡은 집채만 한 바위가 앞을 가로막는다.

여기까진 제법 많이 올라왔기에 내려가기도 애매해 그냥 오르기로 한다.

 

 

그나마 이런 너덜길은 오르기나 쉽지 보이는 건 빽빽한 나무숲에 가파른 기슭이라 발 하나하나 딛는 게 보통 어려운 게 아니다.

내 놀이터인 북한산은 어디서 트랭글을 켜도 등산로를 자세히 볼 수 있는데, 이곳은 도심과 거리가 먼데다 통신탑이 없으니 사용 불가다.

이제부턴 전적으로 감에 의존해 길을 내야 하니 제시간에 하산 지점으로 가지 못하면 산속에서 헤매겠다.

 

 

숲은 키만한 조릿대가 빽빽해 이런 바위 밑으로 겨우 길을 내거나 바위를 만나면 돌고 돌아야 한다.

 

 

겨우 암봉에 올라서서 대충 감으로 또 길을 내며 건너편 능선으로 타고 오른다.

 

 

드디어 능선을 만나고 여러 산악회의 리본을 봤을 때 이젠 살았단 안도감이 몰려온다.

길 없는 가파른 비탈을 오르고 조릿대를 헤친다고 옷과 배낭은 나무 먼지가 뭍어 흉악한 몰골이다.

배낭을 벋고 돌틈 사이로 겨우 빠져나와 바위 위에서 건너편 풍경을 보니 감개무량하다.

 

 

 

 

 

이런 풍경을 볼 수 있다는 게 꿈만 같다.

 

 

입석대가 보이는 걸 보니 천왕봉과 석문을 한참이나 지난 곳으로 올라온 걸 알 수 있다.

 

 

 

 

 

이제부턴 정규 등산로에서 볼 수 있는 속리산의 일반적인 풍경을 만난다.

 

 

속리산이 조선의 8경에 속한다니 보이는 모든 게 아름답다.

이런 멋진 풍경이 있는데도 속리산을 자주 오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

 

 

 

 

 

 

 

 

좀 전에 올라가 주변 풍경을 담았던 바위에 이번엔 다른 사람이 올라가 주변 풍광을 즐긴다.

 

 

 

 

 

 

 

 

 

신선대(1,025m)

한 고승이 청법대에서 불경 외는 소리를 듣고 있는데, 건너편 산봉우리 바위에서 신선들이 앉아 있는 걸 보고 가보았다.

막상 도착해보니 아무도 없어 다시 돌아와 보니 여전히 10여 명의 신선이 담소를 나누고 있었다고 한다.

그 후 이곳을 신선들이 놀던 곳이라 하여 신선대라 불리게 되었다. (안내문)

 

신선대앞 매점에서 찍은 신선대 모습이다.

 

 

청법대

가운데 청법대 우측으로 내려가는 암봉은 산수유릿지 구간이다.

문장대까지 갔다가 되돌아와 저 산수유릿지를 타고 성불사 쪽으로 하산할 생각이다.

 

 

산수유릿지 구간의 칠형제바위

 

 

다른 곳에서 다시 보는 칠형제바위

 

 

 

 

 

왼쪽 바위 사이로 조그맣게 솟아오른 기둥이 문장대가 있는 곳이다.

이제 문장대가 가까이 있으니 고생도 거의 끝나간다.

 

 

산수유릿지로 넘어가려면 저 노란선을 따라 바위를 넘어야 한다. (쉿 비밀)

 

 

한결 가까워 보이는 문장대 방향

 

 

 

 

 

 

 

 

지나온 신선대 방향

 

 

산수유로 넘어가는 바위로 올라왔다.

문장대에 갔다가 다시 돌아와 이곳으로 올라와야 하는 데 오랜만에 오다 보니 기억력 부족으로 오른 것이다.

 

 

이왕 왔으니 칠형제바위를 눈에 담는다.

 

 

 

 

 

이곳은 바위를 깎아 계단을 만든 구간으로 자연을 잘 이용한 지형지물이다.

바위 위에 인공구조물을 만들었다면 세월이 지나면 언제가 다시 만들어야 하겠지만, 이런 돌계단은 영원하겠다.

 

 

 

 

 

오래 전부터 보이던 문장대 앞 통신탑이 반갑다.

 

 

드디어 만난 속리산의 문장대가 무척이나 반갑다.

속리산 정상인 천왕봉(1,057.7m)보다 3m 낮은 문장대(1,054m)지만 오늘은 천왕봉을 건너뛰는 바람에 내겐 속리산의 정상이나 마찬가지다.

오전에 한참이나 길 없는 밀림지대에서 헤맬 때를 생각하면 이렇게 문장대를 만난다는 게 여간 행복한 것이 아니다. 

 

 

드디어 오른 문장대 정상

 

 

정상에서 여러 풍경을 조망한다.

 

 

문장에서 보는 주변 풍광이 속리산에선 제일 멋지다.

 

 

이 구간이 관음봉으로 묘봉으로 내려가는 구간이기도 하다.

입구에 cctv가 설치되어 있어 통과할 수 없는 구간이다 보니 더 들어가고 싶은 코스이기도 하다.

 

 

이 세 군데 바위군이 잠시 후 가게 될 산수유릿지의 칠형제바위다.

맨 오른쪽 바위는 오를 수 없고, 가운데 바위는 중간 지점으로 올라갔다 다시 내려와야 한다.

맨 아래쪽 바위 올라가선 주변의 조망을 즐기고 뒤로 넘어갈 수 있다.

 

 

내려와서 다시 보는 문장대

 

 

문장대에서 바로 화북분소로 내려가면 편하겠으나 계곡으로 하산하니 별로 볼 게 없다.

몸은 힘들어 죽을 지경이지만, 어차피 내려갈 길이니 다시 발길을 돌려 청법대 방향으로 길을 내 좀 전에 올랐던 바위로 다시 오른다.

산수유릿지 구간이 시작되는 첫 지점의 바위로 이제부터는 정규 등산로에선 볼 수 없는 풍경이다.

 

 

너무 가까워 카메라 렌즈로 적당히 잡아낼 수 없다.

 

 

신선대에서 성불사쪽으로 내려가는 구간이로 다음엔 저 구간으로 하산할 기회를 만들어야 겠다.

근데, 길이 있을런지...

 

 

칠형제바위의 마지막 구간으로 입석대가 반듯하고 각지게 잘 올라갔다.

 

 

입석대만 따로 뽑아본다.

 

 

 

 

 

뒤돌아 본 칠형제바위 가운데 봉은 오를 수 없다.

중간에 오른 흔적은 볼 수 있으나 시간이 급하기도 하고 코스도 불편해 보여 건너뛴다.

 

 

좀 전에 보았던 입석대는 막상 도착해 옆에서 보니 완전 딴 판이다. 두 얼굴의 바위인 셈이다.

 

 

 

 

 

다시 정상에 올라가 입석대를 보면 처음 봤던 모습과 별반 다를 바 없는 모습이다.

 

 

잠시 후 이 바위 앞까지 올라간 다음 되돌아와 양지쪽인 왼쪽으로 하산했다.

워낙 길이 가파르게 흘러내려 스틱에 의존해도 추락할까 겁날 정도로 가파르다.

결국 다 내려왔을 땐 문장대에서 화북분소로 내려가는 길과 만난다.

반대편으로 넘어갔으면 전에 보았던 여러 풍경을 볼 수 있었는데, 겨울이다 보니 양지를 택한 게 결과적으로 잘못 선택한 것이다.

고생보다 볼 게 없는 하산 코스가 된 것이다.

 

 

좀 전에 내려온 칠형제바위 마지막 입석대가 있던 암봉이다.

 

 

기대했던 산수유릿지는 칠형제봉 마지막 바위 다음에서 하산길을 잘못 내는 바람에 싱겁게 끝났다.

산수유릿지는 두 번이나 다녀왔으니 다시 더 갈 생각은 없고 기회가 생긴다면 신선대에서 산수유릿지 건너편 바위가 많은 곳으로 하산하고 싶다.

 

성불사 입구에서 계곡을 따라 100여 m 들어오면 오송폭포를 만난다.

지난겨울은 워낙 가뭄이 심해 거의 물이 흐르지 않다 보니 오송폭포를 흐르는 수량이 적어 별로 볼품없다.   

 

 

 

 

 

이렇게 속리산에서 헤매며 고생한 결과에 비해 볼 수 있는 여러 풍광을 놓쳤다.

얼마나 고생이 심했던지 오전 내내 잠에 취해 피로를 풀었어도 여전히 온몸이 뻐근하다.

이 피로가 한 단계 산행 능력을 도약시킬 수 있는 체력의 한계를 끌어올렸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