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기타 등등/생활 속 발견

올림픽 메달 연금과 혜택 알아보기

by 즐풍 2022. 1. 31.

 

 

평창올림픽 마스코트

 

 

 

 

2011년 7월 7일 새벽 국제올림픽위원회 총회에서 평창은 독일의 뮌헨과 프랑스의 안시를 제치고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도시로 선정되었다.

평창은 지난 2004년과 2008년 연거푸 동계올림픽 개최 도시 선정에서 떨어진 후 세 번째 도전에서 승리를 따낸 것이다.

평창 동계올림픽은 6년 7개월의 준비 과정을 거쳐 2018년 2월 9일부터 25일까지 17일간 평창과 강릉에서 열린다.

 

올림픽 개최가 확정되면 개최 국가는 올림픽위원회에서 규정한 인프라 구축에 최선을 다하지만, 7년 여 시간도 짧기만 하다.

이와 함께 나라별로 올림픽 대회에 참가할 국가 대표 선수를 공정하게 선발한다.

치열한 경쟁을 뚫고 국가대표로 선출되면 그때부터 기다리는 건 더 큰 피와 땀뿐 아니라 조국애도 요구한다.

 

올림픽 정신은 평화, 친선, 도약이라고 하지만, 오늘날은 그중에 도약에 가장 의미를 두는 거 같다.

국가든 선수든 우승을 목표로 선수를 선발하고 경기가 열리면 선수와 국민은 애국심으로 하나 된다.

이러한 애국심을 고취시키기엔 올림픽이나 국제 경기만큼 좋은 게 없으니 나라에선 엘리트 선수 육성에 올인할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는 아시안게임, 하계올림픽, 월드컵 경기에 이어 동계올림픽까지 개최하며 국가 위상을 한껏 드높이고 있다.

동계올림픽은 우리 집 앞마당에서 열리는 경기인만큼 시차 적응이나 텃새가 배제되어 메달 하나라도 더 따기를 기대해 본다.

올림픽 경기에서 메달을 땄을 때 어떤 혜택이 있는지 국민체육진흥공단과 뉴스를 통해 알아본다.

 

 

 

 

 

포상금은 메달별로 정해져 있다.

그렇다고 이 금액만 받는 게 아니라 종목별 지원단체에서 주는 추가 격려금이 있다.

그때그때 다 다르지만, 이번엔 우리나라에서 동계올림픽이 개최되는 만큼 단체에서 지급하는 금액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지난번 하계올림픽에서 대한골프협회에선 통 크게 금메달에 3억 원, 은메달은 그 절반, 동메달엔 1억 원의 포상금을 내걸었다.

이번엔 이런 걸 참고로 종복별 포상금을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있겠다.

 

 

 

평창올림픽 개막식 (더코리아뉴스 사진)

 

 

 

 

 

포상금보다 더 관심을 끄는 것은 매월 지급되는 연금이다.

위 표와 같이 금메달은 매월 100만 원, 은메달 75만 원, 동메달 52만 5천 원이 평생 지급된다.

 

공무원 30년을 하고 나가면 직급별로 다르지만, 대략 280만 원 선이다.

그러나 메달리스트는 대부분 나이가 20대 초반이므로 평균 수명을 85세로 잡는다면 60년 정도를 타게 된다.

공무원이 65세부터 매월 280만 원을 받을 때 85세까지 받는 총수령액은 6억 7천200만 원이다.

25세에 100만 원씩 85세까지 60년을 연금 수령할 때 무려 7억 2천만 원을 수령하게 된다.

하지만 공무원은 퇴직 후 다른 소득이 일정 금액 이상 발생하면 연금은 절반으로 깎인다.

그러나 메달리스트는 이와 상관없이 정액을 평생 받으니 누구든 국가대표가 되면 메달에 올인할 수밖에 없다.

 

 

평창올림픽 메달 디자인

 

 

 

 

올림픽에서 여러 경기를 뛰는 선수가 많다.

사격의 진종익 선수, 빙상의 이상화 선수 등이 그렇다.

이들은 몇 개의 메달을 따는 경우가 있는데, 3개를 따면 월 300만 원씩 받을까?

 

아니다.

매달 받는 연금은 메달별로 100만 원, 75만 원, 52만 5천 원이 상한선이다.

그 외에 추가 메달 획득은 연금 점수로 계산하여 일시금으로 받게 된다.

 

연금 혜택 외에도 병역 혜택을 추가로 받게 되므로 상당한 혜택을 받는 셈이다.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 금메달 102개 중 우리나라는 과연 몇 개의 메달을 딸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