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지역별 탐방/전라도·광주

한국 최초의 천주교 순교지인 전주 전동성당

by 즐풍 2022. 11. 6.

2022_197

 

 

 

2022.10.1 (토) 오후에 탐방

 

 

한옥마을 끝에 있는 전동성당을 들어가려고 하니 12:00 이후에 다시 오라고 한다.

하여 최명희 문학관과 경기전 탐방을 끝내고 들어오니 벌써 많은 사람이 이곳에서 시간을 보낸다.

 

 

 

 

□ 전동성당의 유래

 

전동성당은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복자 권상연 야고보가 1791년 12월 8일에 참수되어 순교한 곳으로 

한국 최초의 천주교 첫 순교터이다. 
1801년 10월 24일에는 복자 유항검 아우구스티노와 복자 윤지헌 프란치스코, 유관검이 이곳에서 능지처참형으로 순교했고, 

이어 김유산 토마스와 이우집은 참수로 순교하였다. 

1889년 봄인 5월 성당이 설립되어 프랑스인 보두네 신부가 첫 본당 신부로 부임하였고,

1891년 이곳의 집과 터를 매입하여 본격적인 전주지역 사목활동을 펼쳤다. 
1892년에는 성인 새 영세자 19명을 배출하는 등 다양한 복음화가 이루어졌다. 

1908년 보두네 신부는 이곳에 성전 건립을 시작하였는데, 

성전의 설계는 서울 명동성당의 건축 경험이 있었던 프와넬 신부가 하였다. 

성전을 짓는 과정에서 재정난을 비롯해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1914년에 성전건축이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성전 내부의 전례에 필요한 시설과 성물 등의 설치가 다 이루어지지 못해 축성식은 갖지 못하고, 축복식만 진행하였다.

(이후 축성식은 1931년 6월 18일에 진행). 1915년 8월 24일에는 종 축성식을 가졌다.

 

성전의 주춧돌로는 전주성의 성벽 돌이 사용되었는데, 

일부 돌은 참수된 순교자들의 머리가 성벽에 매달렸을 때 피가 스며든 돌인 것으로 추정된다. 

보두네 신부는 당시 당국에서 신작로를 개설하는 과정에서 성벽을 허물면서 버리던 돌을 구입하였다. 

성전 건축에 사용된 목재는 주로 치명자산(승암산)의 나무들이고, 

벽돌은 공사를 담당한 중국인 기술자 100여 명이 직접 구워 만든 것이다.

 

 

 

□ 건축양식

 

전동성당의 성전은 호남 지방에 최초로 건립된 서양식 건물로서 그 종교적 가치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적 차원에서도 매우 귀중한 유산으로 인정받고 있다. 
먼저 성당 정면 아치를 보면벽돌로 장식한 부분이 보이는데

이것을 아키볼트(장식 창도리) 한다정면 중앙에는 높이 솟아 있는 고탑과 좌우 계단탑이 있는데

고탑 밑에는 종탑이 있고종탑 밑에는 미의 절정이라   있는 장미창이 있다

그리고 보통의 로마네스크 양식의 성당은 성당을 받치던 아치가 바닥까지 내려오거나 기둥머리까지 내려오는데, 

전동성당의 아치는 채광창이 있는 벽에서 멈추고 색깔을 바꾸어 붉은 벽돌로 기둥머리까지 오도록 하여, 

전반적인 따뜻함과 포근함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다. 
내부를 보면붉은 벽돌 띠가 제대의 뒷벽을 포함해 모든 곳을 감싸고 있는데

 역시 내부 공간 전체에 따뜻함을 주면서 동시에 내부의 수직성과 수평성을 균형 있게 잡아주고 있다.

 참으로 탁월한 조형이며 미의 완성이라   있다.

 

 

 

□ 최초의 순교자 윤지충 바오로와 권상연 야고보

 

전동성당은 한국 천주교회의 공식적인 첫 순교자들인 윤지충, 권상연의 순교터 위에 세워진 성당으로, 

대한민국 순교의 역사적인 기념터이자 뿌리 깊은 신앙의 성지이다. 
윤지충(바오로) 권상연(야고보) 지체 높은 양반가의 자제들로 일찍부터 학문에 정진하였으나

천주교 신앙에 대해 알게   스스로 교회 서적을 구해 읽기 시작하였다
이로부터 자신들이 찾고자 했던 진리에 대한 해답을 얻고, 3년 뒤 윤지충은 이승훈으로부터 세례를 받고,

 권상연은 그로부터 천주 교리를 배워 천주교에 입교하였다. 

그러던 중 1790년경 북경의 구베아 주교로부터 제사 금지령이 전달되었는데, 

이로 인해 수많은 조선의 양반들이 충격을 받고 신앙을 버리게 되지만, 윤지충과 권상연은 끝까지 신앙을 지키기로 결심한다. 
1791년 여름 윤지충이 모친상을 당하여, 권상연과 함께 어머니의 유언대로 유교식 예를 쓰지 않고 신주를 불살라 버렸는데, 

이 소식이 조정까지 전해진다. 
그들을 체포하라는 명령에 피신해 있던 그들을 대신해 숙부를 감금하자 이들은 진산 관아에 자수하였고

전라 감영에 압송되어 온갖 문초와 배교하라는 권고를 받았으나,

천주를 아버지로 받아들이고  뒤에는 그분의 말씀을 따르지 않고서는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라는 말로 

자신들의 믿음을 당당히 드러내었다.

시대와 배경을 고려해 볼 때 이는 놀라운 신앙 고백이자 선언이었고, 이에 그들에게는 군문효수형이 언도되었다. 
그렇게 순교로써 자신들의 신앙을 증거 한 윤지충의 나이는 33세, 권상연의 나이는 41세였다.

그렇게 1791년 한국 교회의 최초 순교자 윤지충, 권상연의 순교 현장, 

또 1801년 호남의 사도 유항검과 동료 순교자들의 능지처참과 참수의 현장 위에, 

성인들의 순교를 지켜본 성곽의 돌로 성당이 지어짐으로써, 이곳이 순교지일 뿐 아니라 ‘신앙의 증거‘, '신앙의 요람’ 임을 드러냈다. 

공사기간 동안 전주 시내 신자들은 물론 진안, 장성 등지의 교우들이 밥을 지어먹을 솥과 양식을 짊어지고 와, 

손에 굳은살이 어깨에는 혹이 생기도록 자원 부역을 했다. 

그러한 노력 끝에 공사를 시작한 지 7년 만인 1914년 외부공사를 마쳤는데, 

이듬해 초대 주임 보두네 신부는 성당의 완공을 보지 못하고 56세의 나이로 선종한다. 

그 뒤를 이어받은 제2대 본당 주임인 라크루 신부의 주도로 17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내부공사를 진행하여 마침내 1931년, 

착공한 지 23년 만에 성당을 완성한다.

                                                                                                       (출처_전주 전동성당 홈피)

 

 

전동성당 전면

 

 

 

 

 

전동성당을 신축한 초대 주임 두보네 신부

 

 

 

 

 

 

 

 

 

 

 

성당 측후면

 

교육관

 

성동 뒷면

 

 

 

사제관

 

 

 

 

 

사제관 정면

 

 

 

 

 

 

 

전주 전동성당은 전주 한옥마을과 연결된 곳으로 주말엔 많은 사람이 붐비는 곳이다.

한복을 빌려 입은 사람이나 결혼 스냅사진을 찍으려는 사람까지 모여들어 생동감을 느낄 수 있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우리나라 최초의 천주교 순교지라는 아픈 역사를 품고 있다.

순교지 위에 세운 로마네스크 양식이라 명동성당, 대구의 계산성당과 함께 우리나라 아름다운 3대 성당에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