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지역별 탐방/충청도·대전·세종

홍주의사총과 그외 탐방 장소 모음

by 즐풍 2022. 1. 25.

2022_08

 

 

2022.2.16 (일) 탐방

 

 

홍주읍성을 보러 홍성군에 옴 김에 백월산과 홍주의사총, 천주교 홍주성지, 오관리 당간지주는 덤으로 본다.

한때 충청도 4목(충주, 청주, 공주, 홍주) 중 하나였던 홍성군은 그 위상에 걸맞게 항일운동과 의병활동이 활발했다.

3.1 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만해 한용운 선생과 청산리전투를 승리로 이끈 백야 김좌진 장군이 홍주 출신이다.

일제강점기인 1906년 병오년에 이조참판 민종식을 중심으로 의병활동을 전개해 일본군을 습격해 병기를 탈취하고,

홍주성을 함락시키기도 했으나 저들의 우월한 화력에 900여 명의 의병이 의롭게 산화한 지역이다.

이들 지역을 지나며 남긴 사진을 몇 장 올린다.

 

 

홍주의사총으로 가는 길에 만나는 대교공원에는 한국유림 운동 파리장서 비 등이 설치되어 관심을 끈다.

 

 

□ 한국유림운동 파리장서 비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한국 유림은 파리에서 열린 세계평화회의에 한국의 독립을 호소하는 서한을
제출해 독립의지를 세계만방에 떨친 공헌을 한 바,
이를 기념하기 위해 대통령희사금과 국민의 성금 등으로 1972년 10월 서울 중구 장충단공원에 비를 건립하였다.
파리 장서(長書)는 일제의 한국 주권 찬탈 과정을 폭로하고 식민 지배의 불법성과 한국 독립의 정당성을 주장하여
한국의 모든 계층과 사회 집단이 독립을 열망하고 있음을 국내외에 널리 알렸던 서한이다.
곽종석, 김복한을 비롯하여 유림 대표 137명이 연서한 이 장서를 김창숙으로 하여금 상해로 가져가도록 하였고,
이를 다시 김규식을 통하여 파리 강화 회의에 제출하였다.
또한, 각국 대표와 외국 공관과 국내 각지의 향교에도 배포되었다.
일본은 파리장서 운동에 참가한 유림들은 체포 투옥하는 등 가혹하게 탄압하였으며(제1차 유림단 사건),
이 사건을 계기로 유림계는 한말 구국운동의 전통을 계승하여 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하게 되었다.
                                                                                         (출처_대한민국 구석구석)


이러한 한국유림운동 파리장서 비는 전국 곳곳에 설치된 것으로 이곳 홍성읍에도 설치되었다.

 

 

 

일본인 검사가 만해 한용운 선생에게 "왜 독립선언을 하였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나는 할 말이 많다. 그것을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으니 글로 적어 주겠다."라며

일본인 검사에게 자신의 소견을 옥중에서 쓰시는 모습

 

조선독립에 대한 감상의 대요

 

1. 개론

2. 조선 독립선언의 동기

   1) 조선 민족의 실력  2) 세계 대세의 변천  3) 민족 자결 조건

3. 조선 독립선언의 이유

   1) 민족의 자존성  2) 조국 사상  3) 자유주의  4) 대세계 의무

4. 조선총독 정책에 대하여

5. 조선독립의 자신  (안내문)

 

 

첫째, 변호사를 대지 말 것

둘째, 사식(私食)을 취하지 말 것

셋째, 보석을 요구하지 말 것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종로 태화관에 모인 민족 대표들 앞에서 만해 한용운 선생은 

"오늘 우리가 모인 것은 조선의 독립을 선언하기 위한 것으로 자못 영광스러운 날이며,

우리는 민족 대표로서 이와 같은 선언을 하게 되어 그 책임이 중하니 금 후 공동으로 협심하여

조선 독립을 기도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내용을 연설하는 모습이다.  (안내문)

 

 

대교공원을 지나 홍주향교에 들어섰으나 요즘 코로나 등의 이유로 문을 닫았다.

 

 

 

담장 너머로 안쪽을 들여다본다.

 

담장 밖에 설치된 외부인 안내 및 교육 장소

 

 

 

홍주향교는 문이 잠겨 밖에서 보고 자리를 옮겨 홍주의사총에 도착했다.

 

 

□ 홍성 홍주의사총


홍주의사총은 대한제국 시기 홍성군 지역에서 있었던 의병활동 중 홍주성 전투에서 희생된 

수백 의병들의 유해를 모신 묘소이다.
1905년 일본의 강압에 의해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각지에서 의병활동이 일어났는데, 

홍성 지역에서는 이조참판 민종식을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이 전개되었다. 

민종식은 1906년 고종 황제의 명을 받아 의병을 이끌고 남포와 보령의 일본군을 습격하여 병기를 탈취하였으며, 

5월 19일 마침내 홍주성을 함락시켰다. 

그러나 일본군의 대포 공격이 본격화되면서 5월 31일 폭격으로 조양문이 무너지고 

의병 수백 명이 전사하는 피해를 입었다. 

일본군은 민간인과 의병을 가리지 않고 무차별 사격을 가했고 

많은 의병들의 시체가 홍성천과 남산 부근에 방치되었다. 

이에 광복 이후 의병들의 유해를 남산에 안치하고 ‘병오 항일 기념비’를 세우며 추모제를 지냈다. 

그런데 1949년 현재의 홍주의사총이 있는 구릉에서 또 다른 유골들을 발견하면서, 

이 유골들이 옛 홍주의병의 유해임을 확인하고 현 위치에 새로이 의사총을 조성하였다. 

사당인 창의사에 900 의사義士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어 구백의총九百義塚이라 했던 것을 

1992년 홍주의사총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홍주의사총은 을미의병으로부터 면면히 계승되어 온 한말 홍주의병의 호국정신을 기리는 중요한 유적으로, 

매년 5월 30일 순국의사 추모제를 올리고 있으며 2001년 8월 17일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홍성군청 안내문)

 

 

홍주의사총

 

홍주의사총 옆에 병오순난의병장사공묘비 비석과 함께 안내문이 설치되어 있다.

 

 

 

홍주의사총 옆 진충문(盡忠門)은 잠겨있어 들어갈 수 없다.

 

진충문 담장 밖으로 본 창의사(倡義祠)

 

 

 

의사총 뒤에 있는 언덕에 이런 조형물이 설치된 건 못 보고 놓쳤다.

총성군에서 가져온 사진 두 장을 올린다.

 

 

 

홍성운 탐방을 끝내고 홍성역으로 가는 길에 만난 백야 김좌진 장군 동상이다.

 

조형물 일부 

 

이 조형물에 들어가 앞에 있는 칼을 잡고 김좌진 장군처럼 왜군을 가리키며 조국 사랑의 결기를 다지는 곳이다.

사진 찍기 좋은 곳이다.

 

 

이번엔 길에서 가까운 홍성성당을 잠깐 들어가 본다.

 

 

 

 

 

 

 

 

 

 

 

 

 

 

 

홍성역을 끝으로 홍성군의 위치도 몰랐던 즐풍은 홍성군의 역사를 얕고 넓게 조금은 알았다.

언젠가 기회가 되면 이 지역의 더 많은 역사의 현장을 탐방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