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성과 읍성 탐방/산성·읍성·진·보·돈대

대전 계족산 황톳길과 계족산성

by 즐풍 2022. 3. 26.

2022_33

 

 

2022.3.25 (금) 16:00~18:26 (6.85km, 2시간 26분 산행)  흐림

 

 

지난 2월 15일 통장으로 선임된 후 날이 풀리자 오전에 처음으로 봉사활동을 했다.

마을 버스정류장에 붙은 불법 전단지 제거 작업으로 테이프로 붙인 것은 애교 수준이다.

접착력이 높은 전단지는 칼날로 제게 해도 끈끈이가 눌어붙어 잘 떨어지지 않는다.

이런 불법 광고를 부착한 민폐를 끼치는 업체는 건건이 과태료를 부과해야 정신 차릴 듯싶다.

 

제거 작업 후 함께 식사를 마치고 세종시 북쪽 끝에 있는 사둔 댁에 볼 일이 있어 잠시 방문했다.

이어 50분 거리의 대전 계족산에 도착했을 때 벌써 오후 4시라 산행하기엔 다소 부족한 시간이다.

서울지역 산악회에서는 보통 계족산 산행할 때 식장산을 끼워 하루에 2 산을 끝내는 일정으로 잡는다.

일몰까지 2시간 40여 분 남았으니 시간에 맞춰 하산하도록 시간 안배를 잘해야 한다.

 

 

□ 계족산

 

계족산은 대전시 대덕구와 동구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한자 그대로 닭의 다리라는 뜻으로 산의 모양이 닭다리를 닮아 계족산이라고 부른다.
주능선에서 지능선들이 닭발처럼 뻗어나간다.
산 우측 끝 가양공원부터 장동 삼림욕장까지 넓은 산책로가 있어서 자전거를 타거나 산책하는 시민이 많다.
계족산성을 빨리 편하게 가고 싶다면 장동산림욕장이나 산디마을 쪽으로 가는 것이 좋다.
산책로로 구성되어 있어 데이트 코스로도 좋은 곳이다.
황톳길로 만들어서 맨발로 산책해도 좋은 길이다.
쉼터 앞 정자에서 보이는 계단은 계족산성으로 가는 길인데 여기서부터는 산책로가 아닌 등산로이다.
험하지 않아서 크게 힘 들이지 않고도 등산이 가능하여 가족끼리의 등산코스로도 좋은 곳이다.
                                                                                          (출처_대전시청)

 

계족산 황톳길과 계족산성 등산 코스

 

 

계족산 황톳길을 찍고 오니 장동산림욕장 입구를 지나게 된다.

 

 

□ 계족산 황톳길

 

계족산 명품 100리 숲길과 함께 장동 산림욕장 안에 있다.
그 가운데 임도를 따라 14.5km의 황톳길이 있어 봄부터 가을까지 맨발체험을 할 수 있다.
매년 5월에는 "마사이 마라톤대회"와 "맨발 황톳길 걷기 대회" 그리고 "국제설치미술대회"가 열린다
                                                                                                       (출처_대전시청)

 

 

비가 온 뒤라 황톳길은 조금 질퍽거리지만 이젠 어느 정도 꾸덕거려 맨발로 걸으면 촉감이 좋을 뿐 아니라

푹신한 느낌이 들어 제일 걷기 좋을 때란 생각이 든다.

황톳길을 걷는 산책이 목적이라면 지금 이 시각이 최상의 조건이다.

맨발 자국이 그대로 드러나 적당한 아치가 생겼다.

 

차량 한 대 겨우 지나갈 비포장 도로엔 잘 부서진 자갈이 깔려 걷기 좋고 한쪽으로 치우친 황톳길은

5~10cm 정도 더 높게 깔았다.

황토라 점착력이 좋아 웬만한 비에도 유실이 적겠단 생각이 든다.

 

황톳길 위치가 바뀌기도 한다.

 

 

□ 계족산 황톳길 이야기

 

충청권 대표 소주 '이제 우린'의 기업 맥키스컴퍼니 조웅래 회장이 조성한 '계족산 황톳길'은

대한민국 대표 에코힐링·맨발 걷기 명소이다.

2006년 계족산을 찾은 조 회장은 하이힐을 신고 오른 여성에게 자신의 운동화를 건네주고 맨발로 걸었다.

그날은 평소와 달리 숙면을 취하고 머리가 맑아지는 경험을 한 조 회장은

"많은 사람과 이 즐거움을 나누자"며 14.5km의 임도에 황톳길을 조성했다.

이후 매년 질 좋은 2,000여 톤의 황토를 구해다 깔고, 뒤집고, 물을 뿌리며

걷기 좋은 최적의 황톳길 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 결과 매년 100만 명 이상이 찾는 관광명소가 되었고,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하는 '한국의 관광 100선'에 4회 연속 선정되었다.

맥키스 컴퍼니는 계족산 황톳길, 뻔뻔한 클래식, 맨발축제, 맨몸 마라톤 등 지역주민과 

상생활동을 2006년부터 계속 지속해 충청권 유일 우수 지역사회공헌 기업으로 인정받았다. (안내문)

 

 

 

 

이런 향토기업이 많이 나와 지역주민과 상생하며 가치를 인정받는 기업이 많아지면 좋겠다.

 

 

 

황톳길 궁금증 해소와 계족산을 오를 생각이었으나 시간이 부족하다.

두 시간 30여 분 남짓한 시간이라 적당한 장소에서 바로 계족산성 방향으로 길머리를 잡는다.

 

여기가 주차장에서 2.6km 지점의 계족산성이다.

산이 험하지 않고 나자 천천히 51분 걸렸다.

오르는 계단은 서문과 연결된다.

 

 

□ 서문터

 

서문터는 서벽에서 약간 북쪽으로 치우친 지점에 있다.

서벽은 계족산성에서 가장 높은 산등성이의 바깥 경사면에 있다.

서문은 현문* 형태의 문으로 바닥 높이 4.6m, 폭 4m 정도이며,

바닥에는 황갈색 모래층 위에 납작한 판석을 성 안쪽까지 깔았다.

서문터 바깥벽은 2.5m 높이까지 성벽이 밀리지 않도록 기단 보축**했다.

서문터 바닥 면에서는 5개의 대형 주춧돌도 확인되었다.

서문터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연꽃무늬 수막새 기와 2점과

안쪽의 기와를 만들 때 쓰는 통 쪽을 가로로 묶은 굵은 흔적,

그리고 돗자리 무늬가 새겨진 평기와 조각이 많이 출토되었다.

또한 이를 통해 계족산성이 삼국시대에 쌓은 성임을 알 수 있다.

*현문: 평상시는 다리를 들어 올려 성의 안팎이 통하지 못하게 하고, 

         필요한 때만 문을 내려 통행하는 문

**기단 보축: 성벽의 외부에 덧대 보강하기 위해 쌓는 것   (안내문)

 

성 밖의 작은 오솔길은 남문과 연결되고 내처 걸으면 계족산으로 가는 길과 만난다.

 

 

□ 계족산성

 

대전시 장동 계족산(해발 420m) 정상에서 능선을 따라 축조된 테뫼식 산성이다.
이 산성은 백제가 쌓은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1998∼99년 발굴을 통해 신라에서 쌓은 것으로 밝혀졌다.
산성의 높이는 약 7∼10m가량 되며, 동·서·남쪽에 문 터를 만들었다.
성 안에서 삼국시대에 만든 큰 우물터가 발견되었고, 성내 건물터에서는 고려시대 기와 편과
조선시대 자기편이 발견되어 조선시대까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성 쌓기 방법은 보은에 있는 신라 삼년산성(사적 제235호)과 같은 방식으로 쌓았다는 것이 발굴을 통해 밝혀졌고,
출토된 토기 중 가장 오래된 것이 6세기 중·후반의 신라토기임이 밝혀졌다.
이후에 나온 토기 형태도 백제계는 소수이며 다수의 신라계 토기가 보여,
한때 백제가 점령하긴 했지만 신라에 의해 만들어진 산성으로 조사되었다.
계족산성은 새로운 발굴 성과에 의해 신라가 쌓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직도 논란이 있으며,
6세기 중·후반 신라나 백제에 의해 만들어진 산성으로, 당시 대전지방이 가진 전략적 중요성을 보여준다
                                                                                                     (출처_대전시청)

지금 보이고 남아있는 계족산성은 모두 최근에 복원한 것이다.

 

휀스를 친 곳은 건물터가 있던 곳으로 현재 산성 복원 중이라 출입이 금지되었다.

 

비 올 듯 잔뜩 찌푸린 날씨로 어둡고 조망도 별로다.

간간이 거목이 눈에 띄나 아직 잎이 돋지 않아 기세가 많이 줄었다.

 

 

 

 

 

서문터에서 보는 남문 방향

 

 

 

남문터

 

 

□ 봉수대(烽燧臺)

 

봉수란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변방의 긴급한 군사 정보를 중앙에 전달하는 군사 통신제도이다.

계족산 봉수는 경상도 방면에서 도착한 긴급한 소식을 청주와 충주로 연결하여 서울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봉수대 남문 안쪽 산등성이 정상부에 있으며 길이 11m,  최대 너비 22.8m의 방호벽을 쌓고,

안쪽을 두 구역으로 나누었다.

동쪽에는 길이 11m, 너비 5.2~7.8m 규모로 평면 사다리꼴로 만들어 봉수 시설을 설치하였으며,

중앙부에는 길이 12m, 너비 9.8m 규모로 안쪽에 돌을 쌓아 연료 창고 및 봉수군들이 머무를 건물을 배치하였다.

안쪽에 돌을 쌓은 남쪽 중앙부에는 너비 1.3m, 길이 7.8m의 출입 시설이 남아 있었는데,

양쪽 규모는 너비 1~1.8m, 높이 0.5~1.1m였다.  (안내문)

 

봉수대 주변의 방호벽은 복원하였으나 봉수대는 아직 복원 전이다.

 

봉수대 아래 위치한 남문터

 

반대 방향에서 보는 봉수대 방호벽

 

 

□ 집수지(集水池)

 

집수지는 산성 안의 군사들이 마실 물과 화재 때 불을 끌 물로 사용했다.

홍수 때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물의 속도를 줄여서 성벽을 보호하기 위해 쌓은 것이다.

이곳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확인된 집수지 중에서는 최대 규모로

1차 집수지의 규모는 남북으로 25m, 동서로 5.2m

2차 집수지 규모는 윗부분 너비가 20m, 동서로 8m이다.

바닥에서 100개 이상의 삼국시대 토기 조각과 기와 조각이 발견되어 이를 통해

계족산성을 처음 쌓은 시기가 삼국시대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안내문)

 

 

집수지 옆으로 오르는 성벽

 

집수지와 성벽

 

 

산성 정상은 성벽 복원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안쪽에 있는 안내문이다.

 

계족산성에서 이 건물터가 제일 높아 조망이 좋아 이곳의 수령이 상주했을 것으로 보인다.

 

 

 

 

계족산성을 한 바퀴 돌고 나니 벌써 오후 5시 25분이라 더 이상 산행을 진행하지 않고 하산한다.

하산하면서 보니 차량 회수하기가 쉽지 않아 방향을 산림욕장으로 돌린다.

이곳 임도는 산을 넘지 않아 묘소로 방향을 잡았으나 이내 길이 끊긴다.

어렵게 길을 만나 차량을 회수하며 산행을 마친다.

 

 

뜻하지 않게 세종시에 갈 일이 생겨 얻은 말미에 계족산으로 향했다.

두 시간 반의 짧은 시간이라 계족산 정상까지 밟지 못하고, 황톳길과 계족산성을 둘러보는 것으로 만족한다.

하산 후 귀가할 때 내리기 시작한 비는 집에 도착할 때까지 그치지 않았다.

산행하며 비를 만나지 않은 게 천만다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