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기타 등등/등산 관련

산 정상 표지석 감상

by 즐풍 2019. 6. 10.

 

 

설악산으로부터 내려오는 단풍이 이 산 저 산 만산홍엽으로 물들이기 시작하면 얼마간 단풍명산은 등산객으로

몸살을 앓게 되니 때는 바야흐로 산행의 계절이다. 굳이 단풍철이 아니라도 자주 찾기 힘든 명산을 등산한다면

힘들어도 정상을 밟아야 직성이 풀린다.

이렇게 오른 정상에서 만나는 표지석은 그 모양이나 서체가 다양하므로 이를 감상하는 것도 매우 흥미롭다.

표지석이 웅장하면서도 새겨진 글자가 멋들어진다면 힘겹게 올라온 산행의 고단함을 한 번에 쓸어버린다.

그만큼 가슴을 뭉클하게 만드는 마력이 있기 때문이다. 

 

 

                                                        ▼ 관악산 표지석

                  

 

 

그렇다면 우리나라 최고의 정상 표지석은 어디일까?

단언컨대, 관악산의 표지석이라는 데 이의를 달 사람은 거의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관악산 표지석은 태초부터

있는 절묘한 바위에 명 서예가인 추사 김정희 선생의 글자 중에서 관악산(冠岳山)을 뽑아낸 집자체(集字體)로 

새겼으니 그 미려한 필체는 어디서도 보기 힘든 명필임에 틀림없다. 그 중에서도 山자는 한자를 배우지 않았어도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을만큼 쉬운 상형문자라 더 정감이 간다.

 

 

 ▼ 북한산 백운대

                  

 

 

 

이에 반해 단위 면적당 세계에서 가장 많은 등산객이 찾는다는 북한산 백운대엔 표지석이 없다. 백운대 정상엔 

3.1운동과 관련된 글자를 보호할 목적으로 목책이 둘러쳐져 있기에 표지석을 세울 장소가 없지만 한 칸 아래

마당바위엔 얼마든지 세울 장소는 많다. 아니면 백운대 암봉 자체가 훌륭한 표지석으로 그에 합당한 서체가 나

와야 한다는 부담이 있지만 아무렴 대한민국에 일필휘지할 명서예가가 없을까? 

하기야 지금도 여전한「북한산」이냐 「삼각산」이냐는 소모적 논쟁에 더하여 환경훼손이니 뭐니 하며 괜한

란이 생길 게 뻔하기에 미루는 건 아닐런지...

 

북한산국립공원에서 2015.6.29. "북한산 백운대 836m"라고 한자로 된 표지석을 설치했다. 

                         http://blog.daum.net/honbul-/731  ☜ 참조 

                                                                                                                   2015.7.23. 수정

 

▼ 한라산 동능정상 표지목

                  

 

 

민족의 영산인 한라산과 마니산엔 독특하게도 나무로 된 표지목이 있다.

한라산 정상엔 「한라산 동능정상」이란 한글로 새긴 표지목이 있고, 강화도 마니산엔 한자로 된 표지목이 있다.

종전의 마니산엔 자연 그대로의 나무를 잘라 해서체로 쓴「강화도 마니산」표지목이었지만, 새로 교체된 것은 

기계로 간 통나무에 인쇄체 한자로 쓴 표지목이라 다소 부자연스럽다. 이런 나무 표지목은 내구성이 약한데다 

탈색이 빠르니 이왕이면 멋진 표지석으로 교체되길 바란다. 표지목이야 수명에 한계가 있지만 표지석은 철거하

지 않은 한 영구적으로 세워져 있을 테니 그 지역을 대표하는 명서예가의 글씨를 받아 설치하는 게 좋겠다.

 

 

 ▼ 마니산 정상 표지목은 최근 오른쪽 나무로 바뀐 게 뻘줌하다.

                  

 

 

설악산 대청봉 표지석을 보자.

본래 설악산에 있던 적당한 바위에 한글인 훈민정음체로 굵고 힘차게 「대청봉」이라 새겨 설악산의 장엄한

기상이 우러나온다. 이젠 탈색되어 희미하기까지 한 대청봉이란 글자는 오랜 세월의 풍상을 견뎌낸 흔적인 듯

묵직한 고집이 엿보인다.

많은 시간을 안간힘을 써 가며 정상에 올라와 이 대청봉 표지석을 배경으로 사진이라도 찍을라치면 서로 먼저

찍겠다고 달려들어 어느새 순서고 뭐고 없어 아수라장이 되는 명소의 명물이다. 

 

 

 ▼ 설악산 대청봉 표지석

                  

 

 

 

 

지리산 천왕봉이다.

남한에서는 한라산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정상까지 무거운 배낭을 맨 채 적어도 다섯 시간 이상을 고생해야 닿을

수 있기에 「한국인의 기상, 여기서 발원되다」라는 지리산의 자부심인 「천왕봉」 표지석을 만나면 기쁨의 탄성

절로 터져 나온다. 처음엔 어머니 품처럼 편안하게 이어지던 능선은 천왕봉에 가까울수록 거친 근육을 내보기에

정상정복이 쉽지도 않다. 그런 천왕봉의 일출은 '삼대가 덕을 쌓아야 볼 수 있다'는 말이 있을 만큼 변화무쌍한

장엄한 일출을 보기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구름은 바람 없이 갈 수 없고, 사람은 사랑 없이 살 수 없다'지만 산행도 열정 없이 이어갈 수 없기에 이러한 정상

표지석을 마주한 채 일출을 바라본다면 덕 많은 집안의 열정어린 행운아가 틀림없다.

 

 

 

▼ 지리산 천왕봉 표지석

                  

 

 

 

짧은 산행경력으로 본 우리나라 정상 표지석 중에서 제일 큰 것은 태백산의 정상석과 운악산의 비로봉 표지석이

아닐까 생각한다. 태백산의 정상석은 2m를 훌쩍 뛰어넘는 데다 「太白山」의 서체 또한 단아한 품위를 보인다.

큰 글자일수록 쓰기가 쉽지 않은 데도 반듯한 해서체를 사용하여 시인성이 좋으며 太자의 양쪽 삐침을 넓게 벌려

바람 많은 태백산 정상을 요지부동한 자세로 지켜주는 느낌이다. 그것은 마치 한겨울에 무릎까지 빠지는 설산을

한발한발 진중한 자세로 올라온 등산객이 북풍한설에 맞서는 모습을 보는 듯하다. 山자도 그러하거니와 세 자가

갖는 균형미와 장중함은 해서체의 정석이다.

 

 

하얀 대리석이 설원의 풍경과 어울리는 태백산 정상석

                  

 

 

최근 운악산 동봉에 새롭게 설치된 「비로봉」 표지석은 특이하게도 녹색 글자라는 게 이채롭다. 해서체에 약간의

초서가 뒤섞인 자유분방함은 형형색색의 등산객이 가쁜 숨 몰아쉬며 올라온 정상에서 늦가을 단풍을 감상하며 환호

하는 모습이 연상된다. 운악산의 병풍바위나 미륵바위 등 수많은 괴암괴석의 다양한 모습에 반해 잘 가공된 표지석

어느날 동봉 정상에 투하되었으나 오히려 언발란스 한 자연스러움이라니!! 이 비로봉 표지석은 운악산 풍경과 어

울려 벌써부새로운 명물로 자리 잡았다.

 

새로 설치한 운악산 동봉의 비로봉 표지석  

                  

 

 

이번엔 주흘산 영봉의 표지석을 보자.

주흘영봉을 한껏 기교를 부려 날라갈듯 우측 끝을 올려버렸지만 맨 아래 峯자는 그 정도가 약하여 무겁게 가라앉

느낌이 들면서 전체 글자의 무게를 잡아준다. 이 주흘영봉과 지리산 천왕봉에 쓰인 봉字는 山을 위에 얹거나(峯)

옆으로 내린(峰) 각기 다른 글자체를 보여준다.

 

                                                  ▼ 주흘산 영봉 표지석

 

 

글자가 다르니 의미도 다를까?

峯字는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하고 지역마다 다르던 문자도 통일하며 기틀을 잡은 예서체에 원형을 둔 글자다. 예서

체는 글자가 동글동글하니 미려하여 지금도 업무용 도장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글자체다. 峯자는 그 전단계인 전서

이전에서도 山은 위에 얹은 형태였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전체적인 공간배치의 균형미를 감안하여 山이 위에서 앞으

내려와 현재 인쇄물에서는 거의 峰자로 쓰이나 그 의미는 같다. 나는 山을 위에 얹은 峯이 좋다. 峰자의 원형일뿐

아니라 정상석이라면 山자도 정상에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부수의 위치가 바뀌어도 뜻이 변하지 않는 글자의 의외로 많다. 이웃 린(隣)의 좌부 방(방)이 왼쪽이나 오른쪽 어느 쪽에 있든 이웃이란 사실엔 변함이 없듯 의미에도 변함이 없다. 원수 수(讐)자의 言자가 새 (추)자 사이에 있어도 의미는 같다. 옷 치렁치렁할 배(裵 裴), 질풍 표(飄), 속 리(裏 裡), 부끄러울 참(懺)의 心자가 아래 있어도 같은 의미다. 전문가들이 찾은 사례는70개에 달하지만 인터넷에선 대부분 지원되지 않는 아쉬움이 있다.

 

반대로 위치가 다르면 의미도 완전히 달라지는 한자도 많다. 예컨대, 가시 극(棘) 대추 조(棗), 읊을 음(吟) 머금을 함(含), 게으를 태(怠) 기뻐할 이(怡), 빛날 욱(昱) 소리 음(音) 등 30개나 된다.

                                               진태하의 「漢字學全書」 참고

 

◀ '모공정'이라는 세발솥에 새겨진 금문 탁본


 

그런데 이 峯자를 한문으로 먹고 사는 서예가들도 종종 틀리게 쓴다.  峰(峯)자의 맨 아래쪽에 있는 아름다울(봉)

자는 三字 가운데를 ㅣ字로 내려 그어야 맞는 글자이다. 그런데도 비슷한 모양의 받들 奉자와 착각을 했는지

字에 ㅣ字를 내려 쓴 잘못된 경우를 간혹 볼 수 있다.

 

 

 「존한자사전」 발췌

                 

 

 

 

울릉도의 성인봉과 강진에 있는 덕룡산의 동봉, 서봉이 좋은 예다. 주작덕룡산을 타며 능선으로 끝없이 이어지는

암봉군락의 비경에 감탄하며 마침내 덕룡산의 동봉과 서봉 표지석을 마주했다. 조선시대 궁중에서 유배를 온 귀양

지가 많아선지 집집마다 글이나 그림 한 점씩은 걸려있다는 예향의 고장이라 글자도 멋지게 잘 썼다고 생각했지만

이내 틀린 글자라는 것을 알고 그만큼 실망도 컸다.

 

 

▼ 왼쪽부터 울릉도 성인봉, 덕룡산의 서봉 동봉 표지석

               

 

 

                 이런 표지석은 오석이나 대리석을 갈아 반짝이고 각진 모양보다는 그 산이나 지역에서 난 자연스런 바위에 정성 가득

                 한 것이라면 바랄 게 없다. 혹여 사정이 여의치 않아 어쩔 수 없다면 태백산이나 운악산의 표지석처럼 웅혼한 기상이

                 라도 보여준다면 또 다른 감동과 묘미를 느낄 것이다. 이제 정상 표지석은 한글 세대에 맞게 점차 한글로 바뀌는 시대

                 적 흐름이야 어쩔 수 없다지만 그래도 한자로 쓴다면 제대로 된 한자이어야 하지 않을까?

 

최초 작성일 2012년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