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기타 등등/등산 관련

즐풍목우(櫛風沐雨)

by 즐풍 2012. 1. 13.

 

■ 불광불급이냐 과유불급이냐?

 

무엇이든 미친듯이 열정이 계속된다면 언젠가 그 분야에 일가를 이루게 될 것이다. 이름하여 불광불급(不狂不及)이니 미치지 않고는

이를 수 없다는 말일진데 혹자는 이를 경계하여 지나침은 모자름만 못 하니 그저 적당히 하자는 과유불급을 내세우기도 한다. 

 

어느 쪽이 좋을까? 

관점에 따라 답이 나뉠 수도 있고 두 사자성어가 다 맞을 수도 있겠으나 홀딱 빠지지 않고는 훌륭히 해 내기는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아무래도 처음엔 미친듯이 빠져든 후 어느 경지에 이르면 유유자적하며 즐기는 스타일로 가지 않을까? 

그저 어쩌다 생각나면 연례행사처럼 두어 달에 한 번 정도 또는 산에 오르던 등산이 2009년 8월 심장병확진을 받고서야 생존을 위해

꾸준한 운동을 해야만 하는 절박한 상황 앞에 놓이자 가장 무난한 운동으로 등산을 선택하게 되었다. 이렇게 시작한 등산은 이제 내

생활이 되었다. 

 

 

 

 

 

 

 

 

■ 생존전략

 

그렇다.  

그 무엇이든 절박함이 아니고는 미친듯이 빠져들기 힘들겠지만 이런 절박함이 있었기에 어떤 날씨이든 불구하고 등산화 끈을 조이며

배낭을 메고 등산을 하는 이유가 되었다. 그렇게 빠진 등산홀릭은 이제 어느 산이든 더 많이 보고 사진에 담아야 직성이 풀리는 매니

단계에 들어섰다.  

 

 

■ 근교산 꿰차기

 

이왕 시작한 등산은 산을 온전히 하나씩 정복하기에 이른다. 먼저 2009년 9월부터 도봉산을 다니며 송추계곡과 도봉구, 의정부 등

모든 능선과 계곡은 다 돌아보았다. 다음엔 2010년 8월부터 10월까지 관악산도 출입이 금지된 남태령구간만 제외하고 계곡과 능선

모두 섭렵한다. 관악산과 연결된 삼성산은 목표가 아니었기에 큰 줄기만 타고 나머지 구간은 숙제로 남겨뒀으니 언젠가는 마무리

일이다.

 

2010년부터는 북한산 큰 줄기를 중심으로 시작한 탐방은 구석구석 훑어보는데 1년이 지난 아직까지도 종결짓지 못 했다. 반복되는

구간이 많은 데다 구간별로 계절에 따른 변화를 확인도 할겸 연결코스로 다시 지나치기도 해야 하는데다 매달 한두 번은 지방산행을

나서기 때문이다. 선등자의 산행기를 보며 바위나 능선 계곡의 이름을 외우며 혼자 찾아가는 즐거움도 크다. 그와 상관 없이 봉우리

나 정상에 올라서서 길도 모르면서 가야 할 곳의 길을 먼저 머리에 그리고 숲을 헤치고 갈 때 그 예측과 만나는 길이 일치하는 경우

라면 짜릿한 감동도 느낀다.

 

 

■ 악전고투, 고군분투

 

염초봉이나 파랑새능선, 인수봉의 악어굴능선, 노적봉, 소원바위부터 이름 모를 수많은 암봉에 이르기까지 어렵게 올라갔으나 내려

길을 몰라 헤메다 헬기를 부를까 말까 하는 기로에서 작은 홀더 하나의 실마리로 어렵게 탈출했을 때의 기쁨과 절박함 모두가

동력이 된다. 오래 전 릿지화도 아닌 일반등산화로 원효슬랩을 처음 탈 땐 두려움으로 잘 걷지도 못 하고 벌벌거리며 두 팔로

바위를 잡고 설설기며 올라가던 기억을 더듬어 보면 이젠 웨딩슬랩이나 염초봉의 피아노바위, 책바위도 자일 없이 탈 수 있으니

장족의 전임에 틀림 없다.  

 

 

 

 

 

 

 

■ 두려움은 여전

 

그러나 여전히 두려움은 남아 있다. 떨어질 듯 위험한 암벽을 투지 하나 믿고 올라왔으나 내려가는 길은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입술

타들어 가는 데  도와줄 사람이 아무도 없음은 물론 자일마저 없어 꼼짝 못하는 진퇴양난인 경우가 더러 있다. 결국 무진 애를 쓰

면서 탈출에 성공하지만 그럴 때일수록 자일이나 슬링을 지참하지 않은 걸 후회하며 암벽학교를 다녀야겠다는 생각이 간절하지만

제가 될지는 아직 모르겠다. 북한산을 다 타면 마지막에 남는 게 인수봉이라는데 암벽타기를 배우지 않고는 오를 수 없다. 인수봉을

타자면 암벽타기를 배울 수밖에 없겠지만 그냥 쳐다보는 것으로 만족한다면 늘 자중하고 조심하면서 다녀야 한다.

 

 

 

■ 이젠 즐기는 산행으로 

 

이제 북한산의 험로는 대부분 타 보고 요령도 생겼으나 못 가본 장소가 몇 군데 있으나 비교적 쉬운 코스로 천천히 가면 될 테니 앞으

로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다른 지를 지켜보는 쪽에 더 많은 관심을 두겠다. 한 달에 한두 번은 카페산악회를 통한 지방산행으

로 견문을 넓히며 산이 갖는 다양성도 체험할 생각이다.

 

 

 

 

 

■ 즐풍목우(風沐雨) 

 

즐풍목우, 참 멋진 말이다. 중국의 전설과 실존이 뒤엉킨 우나라 우왕이 양자강과 황하의 상류에 운하를 만들어 황무지를 옥토로 만들

 잠시라도 쉴틈없이 제 몸 돌보지  않고 얼마나 열심히 일 했던지 "바람결로 머릴 빗고, 빗물로 목욕했다"고 할만큼 온 힘을 기울여

운하를 건설했다는 말이다. 뻥이 쎈 중국인들은 우공이산(愚公移山)이란 말까지 만들었으니 운하를 만들었다는 것조차 의심케 한다. 

사실 여부를 떠나 지금은 의미가 변하여 국민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한다는 뜻으로 입만 산 정치가들이 주로 써 먹는 사자성어다.

본래의 뜻 그대로 비가 오든 눈이 내리든 혹한에 코가 떨어져 나가는 날씨라도 산행을 마다하지 않고 맞서 볼 생각이다. 한 번 산행을

빠지면 게으름의 친구가 되어 다시는 산행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