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조선왕릉

사도세자와 정조의 릉인 융·건릉 탐방

by 즐풍 2021. 12. 7.

2021_168

 

 

2021.12.5 (일)  10:40~12:15 (1시간 35분 탐방, 4.4km 이동) 맑음

 

 

카카오 맵을 이리저리 굴리다가 오산의 독산성을 발견했다.

독산성을 중심으로 더 멀리 보니 융건릉도 보인다.

융건릉은 사적인 데다 세계문화유산이기도 하니 함께 보면 좋겠단 생각이 든다.

목우가 강남에 모임을 간다기에 함께 집을 나서 평택지제역에서 각자 선택한 열차를 탄다.

 

처음엔 독산성을 먼저 가려고 했으나 세마역에서 대중교통이 마땅치 않아 융건릉부터 들린다.

병점역에서 융건릉까지 한 번에 가는 버스는 부지기수다.

오래 기다리지 않아 먼저 온 34-1번 버스를 타고 9개 정류장을 지나 20여 분만에 도착했다.

입장료는 1,000원, 동절기엔 한 시간 빠른 오후 5시 마감으로 1시간 전까지 입장해야 한다.

 

 

 

 

□ 융릉·건릉

 

조선왕릉은 조선(1392~1897)의 왕과 왕비,

그리고 대한제국) 1897~1910)의 황제와 황후 73명의 무덤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다.

능은 모두 42기가 있으며, 북한에 있는 2기를 제외한 40기가 200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왕조는 왕릉 조성과 관리에 효와 예를 갖추어 정성을 다했다.

풍수 사상에 따라 최고 명당에 왕릉 자리를 정하고 주변 지형과 경관을 그대로 살려 능을 만들었다.

왕릉을 짓고 관리하는 일을 상세하게 작은 기록이 풍부하게 남아 있고,

지금도 각 왕릉에서는 해마다 제향을 지내며 전통을 잇고 있어 살아있는 문화유산으로 인정받고 있다.

화성에는 융릉과 건릉이 나란히 있다.

융릉은 조선 21 대왕 영조의 둘째 아들인 장조(사도세자, 1735~1762)와

헌경황후 홍씨(혜경궁, 1735~1815)의 능이다.

융릉 곁에 있는 건릉은 장조의 아들 조선 22대왕 정조(1752~1800, 재위 1776~1800)와 

효의황후 김씨의 능이다.

1789년 정조가 아버지의 무덤을 이곳으로 옮겨 왔으며, 정조 자신도 이곳에 무덤을 만들고자 했던 뜻을 밝혀

1800년 정조의 건릉을 이곳에 만들면서 융릉과 건릉이 나란히 있게 되었다. (안내문)

 

 

 

역사문화관에 들려 사전 정보를 얻고 탐방에 나선다.

 

탐방로에 즐비한 소나무가 왕릉을 걷는 정취를 느끼게 한다.

 

숲은 잘 정리돼 잡목이 없다.

여름에 잎이 무성해 그늘이 지므로 바닥에 이끼가 잘 자라 깊은 숲 속에 있는 느낌이다.

 

 

□ 융릉隆陵(추존 장조와 헌경황후)


위치 : 경기 화성시 효행로 481번길 21
능의 형식 : 합장릉
능의 조성 : 1789년(정조 13), 1816년(순조 16), 1899년(광무 3)

 


□ 능의 구성


융릉은 추존 장조의황제와 헌경의황후 홍씨의 능으로 합장릉의 형태이다. 

융릉은 1789년(정조 13)에 배봉산에서 현재의 자리로 옮기면서 현륭원(顯隆園)으로 이름을 바꾸고 

원을 다시 조성하였다.
진입 및 제향 공간에는 홍살문, 판위, 향로와 어로, 수라간, 정자각, 비각이 배치되어 있다. 

비각 안에는 두 기의 표석이 있는데 1기는 조선시대에 세운 조선국 표석(조선국 사도장헌세자현륭원)이고, 

1기는 대한제국시대에 세운 황제국 표석(대한 장조의황제 융릉 헌경의황후 부좌)이다.
능침은 난간석을 생략하고 병풍석만 둘렀으며, 병풍석의 면석은 인조의 장릉(長陵)의 형태를 따랐고, 

인석은 연꽃 형태로 조각한 것이 독특하다. 

그밖에 문무석인, 석마, 장명등, 혼유석, 망주석, 석양과 석호를 배치하였다. 

특히 문석인은 복두를 쓴 일반적인 왕릉 형식이 아닌 금관조복을 입고 있다.
공간 구성 상의 특이점 중 또 하나로 꼽을 수 있는 것은 정자각과 능침이 이루는 축이다.

대개의 왕릉에서 정자각과 능침이 일직선상에 축을 이루는 반면 융릉은 일직선을 이루지 않고 있다.

홍살문의 오른쪽에는 원형의 연못인 곤신지(坤申池)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풍수적 논리에 의해 조성되었다고 한다. 

 

 

□ 능의 역사

 

1762년(영조 38)에 장조(사도세자)가 아버지 영조의 명으로 뒤주 속에 갇혀 세상을 떠나자, 

현 서울 동대문구 배봉산 아래에 묘를 조성하였다. 이후 묘의 이름은 수은묘(垂恩墓)라 하였으며, 

1776년에 정조가 왕위에 오르자 장헌세자라는 존호를 올리고 

묘를 원으로 격상하여 이름을 영우원(永祐園)이라 하였다. 

1789년(정조 13)에 원을 현재의 화산으로 옮기면서 현륭원(顯隆園)이라 하였다. 

1815년(순조 15)에 헌경의황후(혜경궁) 홍씨가 세상을 떠나자 

이듬해인 1816년에 현륭원에 합장으로 원을 조성하였다. 

그 후 대한제국 선포 후 1899년(광무 3)년에 사도세자가 추존되자 능으로 격상되어 융릉이라 하였다.

                                                                                                [출처_문화재청, 조선왕릉]

 

 

 

 

□ 장조의황제(莊祖懿皇帝) 이야기


장조의황제(재세 : 1735년 음력 1월 21일 ~ 1762년 음력 윤 5월 21일)는 영조와 영빈 이씨의 아들로 

1735년(영조 11)에 태어나 1736년(영조 12)에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여 3세가 되었을 때 이미 『효경』을 외울 정도였으며, 

수시로 글을 쓰고 시를 지어 대신들에게 나눠주기도 하였다. 

다양한 방면에서 왕세자로서의 뛰어난 면모를 갖춰 부왕인 영조의 기대는 매우 컸다. 

그러나 1749년(영조 25)에 영조의 명으로 대리청정을 시작하자, 

그를 경계하는 노론 벽파 대신들이 왕세자를 모함하여 영조와 왕세자 간의 갈등이 비롯되었다. 

특히 1762년(영조 38)에 형조판서 윤급의 청지기였던 나경언이 세자의 비행을 고하는 상서를 올리자 

크게 노한 영조는 나경언을 처형하고, 왕세자에게 자결할 것을 명하였다. 

그러나 왕세자가 명을 따르지 않자 영조는 왕세자를 폐서인 한 후 뒤주에 가두었다.
『영조실록』 1762년(영조 38) 5월 13일의 기사에는 아버지인 영조가 왕세자를 뒤주에 가두어

죽이게 되는 비극의 시작이 다음과 같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나경언이 고변한 후로부터 임금은 왕세자를 폐하기로 결심하였다.

 

임금은 창덕궁에 나아가 세자에게 휘령전(정성왕후의 혼전)에 예를 행하도록 하였다.

임금이 행례를 마치고, 세자가 뜰 가운데서 사배례를 마치자,

궁성문을 굳게 막고 사람의 출입을 금한 후 세자에게 명하여 땅에 엎드려 관(冠)을 벗게 하고, 맨

발로 머리를 땅에 조아리게 하고 이어서 차마 들을 수 없는 전교를 내려 자결할 것을 재촉하니,

왕세자의 조아린 이마에서 피가 나왔다.

세손(정조)이 들어와 관과 포를 벗고 왕세자의 뒤에 엎드리니,

임금이 안아다가 시강원으로 보내고 다시는 들어오지 못하게 하라고 명하였다.

임금이 칼을 들고 연달아 전교를 내려 왕세자의 자결을 재촉하니,

왕세자가 자결하고자 하였는데 여러 신하들이 말렸다.

임금은 이어서 폐하여 서인을 삼는다는 명을 내렸다.

군병을 시켜 신하들을 내쫓게 하였고,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한림 임덕제 마저 강제로 자리를 떠나게 되었다.

왕세자는 임덕제의 옷자락을 붙잡고 곡하면서 따라 나오며 말하기를,

“너 역시 나가버리면 나는 장차 누구를 의지하란 말이냐?” 하고,

전문에서 나와 춘방의 여러 관원에게 어떻게 해야 좋은가를 물었다.

왕세자가 곡하면서 다시 들어가 땅에 엎드려 애걸하며 개과천선하기를 청하였으나

임금의 전교는 더욱 엄해지고 드디어 왕세자를 깊이 가두라고 명하였는데, 세손이 황급히 들어왔다.

임금이 왕세자빈, 세손 및 여러 왕손을 좌의정 홍봉한의 집으로 보내라고 명하였는데,

이때에 밤이 이미 반이 지났었다.

결국 뒤주에 가둔지 8일 만에 세상을 떠났다.

영조는 자신의 행동을 곧 후회하고, 애도하는 뜻에서 ‘사도’라는 시호를 내렸다.

그 후 1776년에 정조가 왕위에 오른 후 장헌세자라는 존호를 올렸으며,

1899년(광무 3)에는 왕으로 추존되어 묘호를 장종이라 하였다가 곧바로 황제로 추존되어 장조의황제라 하였다.

                                                                                               [출처_문화재청, 조선왕릉]

 

 

대한제국 1대 황제 고종이 1899년 정종을 황제로 추존해 정조라 부르게 하고,

건릉은 왕릉의 형식은 그대로 둔 채 표석만 황제릉의 내용으로 바꾸었다.

대한제국에서 표석을 다시 세우게 돼 조선국이 아니라 대한으로 바꾼 것이다.

 

대한

장조의황제건릉, 헌경의황후부좌    (비문 한자)

 

 

□ 현릉원

 

현릉원은 정조가 1789년 친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 영우원을 풍수 좋은 곳을 찾아

지금의 위치로 옮겨 오면서 새로 지어 올린 이름이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신분을 왕으로 높이고자 했으나 생전에 뜻을 이루지 못했다.

대신 현륭원을 왕릉에 버금가도록 웅장하고 화려하게 꾸몄다.

1897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1대 황제가 된 고종은 직계 선왕들의 신분을 황제로 높이기 시작했다.

이때 사도세자를 높여 장종으로, 현륭원은 융릉으로 높였으며 곧이어 장종을 다시 황제로 높여 장조라 했다.

이때 현륭원의 형태는 고치지 않았다.  (안내문)

 

조선국

사도 장헌세자현릉원 (지금도 보존된 표석은 대한제국 이전에 세운 것이라 조선국이라 했다.)

 

 

 

 

 

 

융릉과 비각 

 

 

 

 

정조대왕 초장지는 봉긋한 형태의 봉분이 초장지임을 알려준다.

 

초장지까지 갔다가 되돌아 나오며 정조의 릉으로 간다.

11월 말까지 융건릉 산책로를 개방했으나,

12.1~다음 해 5.15까지 산불조심 강조기간으로 산책로가 임시 폐쇄되었다.

 

되돌아가는 길에 융릉 다시 한번 

 

융릉 수라간

 

융릉 홍살문

 

 

□ 곤신지(坤申池)

 

곤신지는 1789년(정조 13) 현륭원(융릉)이 현 서울 동대문구 배봉산에서

현재의 자리로 옮긴 후 이듬해에 조성한 원형의 연못이다.

조선왕릉 중 드물게 연못의 원형으로 조성한 곳으로, '용의 여의주'의 형상이라 한다.

이 연못은 남서 방향으로, 이 자리는 융릉의 생방*이기 때문에 연못을 조성하였다.

*생방(生方): 수지리 용어로 능·묘자리에서 처음 보이는 물을 지칭  (안내문)

 

 

작은 언덕을 지나며 건릉에 도착하게 된다.

 

건릉 홍살문과 정자각

 

 

□ 건릉健陵(정조와 효의황후)


위치 : 경기 화성시 효행로 481번길 21능의 형식 :합장릉능의 조성 :1800년(순조 즉위), 1821년(순조 21)

 

□ 능의 구성

건릉은 조선 22대 정조선황제와 효의선황후 김씨의 능이다. 

건릉은 같은 봉분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의 형식이다.
진입 및 제향 공간에는 홍살문, 판위, 향로와 어로, 수라간, 정자각, 비각이 배치되어 있다.
능침은 융릉과 비슷하지만 병풍석을 생략하고 난간석만 둘렀으며, 

그밖에 문무석인, 석마, 장명등, 혼유석, 망주석, 석양과 석호 등을 배치하였다.

□ 능의 역사

1800년(정조 24)에 정조가 세상을 떠나자 아버지 장조의 현륭원(융릉) 동쪽 언덕에 능을 조성하였다. 

그러나 순조가 왕위에 오른 후 건릉 불길론이 있었고,

 1821년(순조 21)에 효의선황후 김씨가 세상을 떠나자 건릉 천장이 결정되었다. 

이후 현륭원 서쪽 언덕으로 능자리가 결정되면서 합장릉의 형태로 능을 조성하였다.

 


□ 정조선황제(正祖宣皇帝) 이야기

정조선황제(재세: 1752년 음력 9월 22일 ~ 1800년 음력 6월 27일,

재위 : 1776년 음력 3월 10일 ~ 1800년 음력 6월 27일)는 추존 장조와 헌경의황후 홍씨의

둘째 아들로 1752년(영조 28)에 창경궁 경춘전에서 태어났다.

1759년(영조 35)에 왕세손으로 책봉되고,

1762년(영조 38)에 아버지 장조의 죽음을 목격하는 일을 겪었다.

1762년에 영조는 정조에게 왕위 계승의 명분을 주기 위해 일찍 세상을 뜬

첫째 아들 효장세자의 양자로 입적하게 하였다.

1775년(영조 51)부터는 영조를 대신하여 대리청정을 하였으며,

이듬해인 1776년에 영조가 세상을 떠나자 왕위에 올랐다.

먼저 아버지 장조의 명예를 회복하는데 노력하였으며,

왕권을 위협하는 노론 벽파를 정계에서 물러나게 하였다.

 

왕권을 강화하고 체제를 정비하기 위해 영조의 탕평책을 계승하여 발전시키고, 규장각 설치,

신해통공(금난전권 폐지 등) 실시, 신분의 제약 없이 능력과 학식 위주로 인재를 등용하였다.

임진자 등을 새로 만들어 인쇄술의 발달을 기하고, 『증보동국문헌비고』등 많은 서적을 간행하였다.

그리고 이론이 중시되는 학문에 치우치지 않고, 실학을 발전시켰으며,

조선 후기의 문예 부흥기를 가져왔다.

가난한 백성의 구제를 위해 자휼전칙을 공포하고, 제도 개편에도 힘을 기울였다.

그 후 1800년(정조 24)에 창경궁 영춘헌에서 49세로 세상을 떠났다.

순조는 묘호를 정종(正宗)이라 올렸으며, 대한제국 선포 후 1899년(광무 3)에 고종의 직계 5대 조상 추존으로 정조선황제로 추존되었다.
정조는 아버지 장조의 원(영우원)을 지금의 자리인 현륭원(융릉)으로 이장하면서 

수원에 신도시를 건설하고 성곽을 축조했으며 1790년(정조 14)에서 1795년(정조 19)에 이르기까지 

서울에서 수원에 이르는 중요 경유지에 과천행궁, 안양행궁, 사근참행궁, 시흥행궁,

 안산행궁, 화성행궁 등을 설치하였다. 

그중에서도 화성행궁은 규모나 기능면에서 단연 대표적인 행궁이라 할 수 있다. 

1796년(정조 20)에 화성을 축성한 후 팔달산 동쪽 기슭에 576칸 규모로 건립하였으며, 

그전까지는 1789년(정조 13) 수원읍치를 화산에서 팔달산으로 옮기면서 관아로 사용했던 건물이다. 

행궁으로 고쳐 지은 후에도 평상시에는 화성부 유수(留守)가 집무하는 내아(內衙)로 활용하였다. 

정조는 1789년(정조 13) 10월에 이루어진 현륭원 천봉 이후 이듬해 2월부터 

1800년(정조 24) 1월까지 11년간 12차에 걸친 능행을 거행하였다. 

이때마다 정조는 화성행궁에 머물면서 여러 가지 행사를 거행하였다. 

화성행궁은 성곽과 더불어 단순한 건축 조형물이 아니라 개혁적인 계몽군주 정조가 지향하던 

왕권강화 정책의 상징물로 정치적, 군사적인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출처_문화재청, 조선왕릉]

 

정자각과 건륭

 

 

 

비각

 

대한

정조선황제건릉

효의선황후부좌 (비문)

 

 

 

 

 

 

 

 

 

 

추운 날씨에도 잘 자라는 이끼

 

 

오산 독산성을 염두에 둔 일정에 머지않은 곳의 융·건릉을 함께 볼 기회를 만들었다.

사도세자의 한을 지켜봤던 정조의 마을을 엿보는 계기가 됐다.

세계사에 흔치 않은 500여 년의 장구한 왕조 역사에 수많은 일이 일어났다.

세종대왕 치세의 영광된 기간이 있었는가 하면,

왜적이 쳐들어오자 중국으로 도망갈 궁리만 하던 지질한 왕도 있었다.

사도세자의 잘잘못은 역사가 판단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