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지역별 탐방/제주도

육지에 제주 한천계곡만큼 멋진 계곡 있을까? ②

by 즐풍 2020. 12. 16.

2020_99B

 

 

 

 

2020.11.17. (화) 07:48~16:08 (전체 거리 14.7km,  8시간 20분 탐방, 1시간 6분 휴식, 평속 2.0km/h) 맑음

 

 

지천을 제외한 한천계곡만 다 탐방하려도 적어도 4일 정도는 소요될 것이다.

오전에 용연부터 시작해 한천계곡 7km를 왕복했다.

오늘 본 곳 보다 다음 언젠가 보게 될 방문선 구간이 가장 멋진 곳이다.

즐풍의 제주도 계곡 탐방의 시작도 어느 비 오는 날 방문선을 본 이후에 시작된 것이다.

전편에 이어 2부를 시작한다.

 

한천계곡 1부를 아직 안 보셨다면... 클릭

 

용연을 만든 한천계곡의 비경

2020_76A 2020.11.17. (화) 07:48~16:08 (전체 거리 14.7km, 8시간 20분 탐방, 1시간 6분 휴식, 평속 2.0km/h) 맑음 날씨가 참 묘하다. 이번 주는 내일까지 맑겠다던 예보가 시간이 갈수록 흐리거나 비가 오겠다..

blog.daum.net

 

 

이 웅덩이를 보려고 "절로 가는 길"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잠시 후 보게 될 굴로 진입해 겨우 들어왔다.

제주 어느 계곡이든 멋진 풍경을 보기 위해선 바위를 오르내리는 인내와 끈기가 필요하다. 

이 웅덩이는 비교적 원형에 가까운 특이한 형태다.

 

다람쥐궤

 

궤는 흔히 깎아지른 절벽과 바위가 뒤엉켜 동굴처럼 형성되는 곳을 일컫는다.

예전에는 박쥐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었다고 하여 다람쥐궤라 불렸다.

이곳은 서늘한 기운을 느낄 수 있어서 인근 마을 주민들이 한 여름에 더위를 피하기 위한 장소로 이용했다고도 한다.

                                                                                                                               (안내문)

다람쥐궤 천장은 가마솥에서 딱지 앉은 듯 두꺼운 누룽지처럼 얇은 바위가 걸려있다.

곧 주저앉을 것 같은 느낌이라 들어가고 나올 때 간담이 서늘하다.

 

폰카 파노라마로 찍은 사진 

 

제주의 계곡 어디든 물이 많은 곳엔 농가에서 양수기로 물을 올려 쓰기도 한다.

 

다른 장소의 또 다른 굴로 연결된 통로

 

한라산은 전체가 현무암일 정도로 화산석이므로 도처에 크고 작은 굴이 많다.

한천계곡에서도 많은 굴 중에 작은 굴은 아예 찍지도 않았다.

 

이곳에도 굴 형태가 보인다.

 

 

 

계곡에 들어갈수록 비슷한 느낌이라 보고 또 보는 전혀 낯설지 않은 느낌이다.

이미 여러 번 본 느낌인 데자뷔의 현상이 계속된다.

 

 

 

 

 

 

 

4~5cm 정도의 굵은 와이어로프로 계곡을 가로질렀다.

고목 같은 게 폭우로 떠내려올 때 걸러주는 장치인 모양이다.

 

이 바위 산 정상에도 소나무가 자란다.

 

애기소

 

옛날 제주목에 "애개"란 기생과 신관 목사가 이곳에서 참꽃처럼 붉은 사랑을 나눴다고 한다.

조정에 부름을 받은 목사가 조만간 애개를 곁에 부르겠노라고 철석같이 약조하고 한양으로 떠났다.

목사가 변심하여 애개를 까맣게 잊어버리자 홀로 남은 얘기는 기약 없는 기다림과 그리움에 지쳐

둘만의 추억이 서린 이곳에 몸을 던져 죽었다는 슬픈 이야기야 전해진다. 
이런 연유로 원래는 "애개소"라 불리다가 언제부터인가 "애기소"로 불리고 있다

이 내 한가운데를 따라 100여 미터 올라가면 목사와 애개가 사랑을 나누었던

숨어있는 기암절벽들이 가득한데 이곳을 "곱은내"라고 한다.   (안내문)

 

이 애기소는 개울을 비스듬히 가로질러 바위가 둑을 만들어 사계절 내내 물이 차 있다.

가운데 큰 바위가 솟아 여름엔 시원하고 놀기 좋게 생겼다.

제주목이 용연과 가까워 한천의 하류인 용연에서도 자주 정담을 나누었겠지만,

보다 은밀한 밀애가 필요하면 경치 좋고 시원한 이곳이 제격이다.

제주목인 관덕정에서 이곳까지 직선거리로 약 5km 정도이니 이방 한두 명 데리고

말 타고 오면 금방 올 거리다.

애개란 기생이 참 순진하다.

양반집 자제가 지금으로 말하면 시장인데, 품위 떨어지게 기생과 결혼을 생각이나 할까?

기생이 육정을 사랑으로 단단히 착각한 것이다.

 

둑은 거의 2~3m 높이니 여름엔 제법 천렵하기 좋은 곳이다.

 

이곳으로 오르며, 이곳뿐만 아니라 계곡 어디든 집채보다 큰 바위가 가로막은 곳이 많다.

그런 바위야 그림이 안 좋아 사진에 담지 않았는데, 그런 바위 뒤에서 사랑을 나누었단 말씀이다.

데리고 온 이방이나 찬모는 그들의 일탈을 숨어서 지켜보며 관음증을 즐기기에 충분했겠다.

그러기에 애기소란 이름이 지금까지 내려오지 않을까.

에이고, 죽은 년만 불쌍하지...

 

 

 

이 굽은 협곡을 맹렬한 기세로 바위를 치고 나가는 물살을 상상해 보자.

얼마나 기세가 좋을까?

 

 

 

한천계곡을 가로지르는 다리는 제법 많다.

볼거리는 서귀포 지역이 많아도 제주시의 상업과 행정, 교육의 중심지는 제주시이다.

제주시에 들어오면 교통은 늘 막히고 사람들로 북적인다.

이곳의 집값은 수도권 집값과 맞먹는다.

 

 

 

깅이소

 

깅이소는 예전에 오라리 마을 아이들이 깅이(참게)잡이 하던 곳이다.

깅이가 특히 소 근처 바위틈에 많이 서식하여 깅이소라 불린다.

한편 마을에 전에 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백록담에 큰 비가 내릴 때 용진각에 살다가 사라진

용의 비늘이 물살에 실려 떠내려오는 것을 방선문 신선들이 거두어서 깅이소 근처에 흩뿌렸다고 전해진다.  (안내문)

 

제법 멋진 풍경이다.

 

 

 

 

 

 

 

하류인 용연 부근엔 아직 녹색 숲 일색인데, 상류로 갈수록 단풍색이 짙어진다.

일주일 정도 더 있으면 온통 붉은색으로 물들겠다.

 

 

 

소용돌이치며 흘렀을 용암의 흔적을 보는 느낌이다.

 

 

 

 

 

끝없이 이어지는 이런 비경이 놀랍다.

비경이 끝없이 이어지는데도 이런 곳을 탐방하는 탐방객이 없다는 것도 놀랍다.

사실, 이런 계곡을 탐방하는 건 여느 암릉을 탐방하는 것보다 더 어렵고 힘들다.

그런 이유 때문에 알면서도 못 가는 경우가 많겠다.

 

중간중간에 이렇게 물이 괴어 있는 웅덩이를 만나면 바위 위로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가야 한다.

 

 

 

 

 

빠른 곳은 벌써 낙엽이 져 바위에 수북이 떨어졌다.

 

수면을 채운 낙엽이 물을 덮은 이불 같다.

 

 

 

 

 

살짝 함정 같은 느낌이다.

 

바위와 잠깐 동안 친구가 되어 줄 낙엽들...

 

 

 

 

 

상류로 오를수록 점점 단풍은 짙어만 간다.

 

 

 

물웅덩이가 제법 크고 넓다.

 

돌이든 바위든 이런 웅덩이를 만나면 그 안에서 돌고 돌며 서로에게 부딪혀 모난 곳이 줄어들며 몽돌이 된다.

그러나 거센 물살을 만나면 다음 구덩이로 넘어가 같은 일이 반복된다.

큰 돌이 작은 돌 되고 작은 돌이 자갈이 된다.

그때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이 흘러야 할까?

아픔도 시간이 지나면 이렇게 작아지겠지...

 

 

 

작은 협곡이 우락부락한 게 귀여운 도깨비 같다.

 

이곳도 발 딛기가 어려우니 바위로 올라가야 한다.

이런 계곡은 물이 발길을 막는 복병이다.

용기를 갖고 진행하다가 풍덩하면 익사?!

 

다시 넓어진 계곡이다.

 

 

 

 

 

 

 

거의 같은 모습의 반복이나 똑같은 풍경은 없다.

 

 

 

붉은색 반점이 섞인 바위들

 

간혹 미진한 형태의 주상절리도 보인다.

 

 

 

 

 

이런데조차 물이 흐른다면 비 온 뒤일 것이다.

물이 좀 있으면 더 근사한 풍경이겠으나 진행은 그만큼 힘들 것이다.

 

 

 

여긴 제법 붉은 반점이 많은 얼룩빼기 바위 군락이다.

 

 

 

 

 

붉은 반점으로 더 독특한 풍경이다.

 

 

 

이렇게 바닥이 암반이면 걷기가 편하다.

들쑥날쑥 바위가 있으면 피해 다녀야 하니 고생이다.

 

여기서 또 위로 진행해야 하니 갈수록 점점 힘들다.

 

 

 

 

 

 

 

 

 

제법 깊고 잘 생긴 굴이다.

이런 덴 들어가 봐야 해.

 

안에서 봐도 예쁜 굴이다.

 

 

 

 

 

바위라고 하지만 귀엽고 작은 녀석들이라 진행하는 데 별로 방해가 되지 않는다.

 

바위나 절벽은 옆면보다 물이 흐르는 아래쪽이 잘 닳았다.

물은 별로 힘이 없어도 돌을 실어 나르며 닳고 닳은 결과다.

 

 

 

어디서 굴러온 돌인지 제법 멀리서 온 돌이다.

이리저리 굴러먹던 돌이라 둥글둥글하다.

 

보기에 참 멋진 곳으로 다행히 왼쪽으로 조심스럽게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2km 정도 더 올라가면 한천계곡의 백미인 방선문이다.

어느 비 오던 여름에 방문선의 풍경에 반해 이번 여행은 계곡 탐방 위주로 진행했다.

그 방선문을 눈앞에 두고 한천계곡을 마지막으로 제주 여행을 끝낸다.

방선문은 나중에 기회가 되면, 아니 기회를 꼭 만들어 방문해야 한다.

"절로 가는 길"을 따라 하산하며 내일 가게 될 육지 산을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