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산성·고인돌·고분 등

고창 세계문화유산인 고인돌 유적 3~4코스 탐방

by 즐풍 2022. 10. 18.

2022_187

 

 

 

2022.9.30 (금)  12:10~13:10, 1시간 탐방

 

 

작년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세계문화유산 고인돌 유적 제3코스와 제4코스로 들어섰다.

고창 고인돌박물관을 나서며 고인돌 유적지로 가게 되면 제일 먼저 만나게 되는 곳이 제3코스이다.

사실 이곳은 길을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1코스에서 5코스까지 쭈욱 이어진다.

이번에는 제4코스에서 제3코스로 두 구간만 보는 것으로 끝낸다.

 

 

 

□ 고인돌

 

고인돌은 일반적으로 지상이나 지하의 무덤방 위에 거대한 덮개돌을 덮은 선사시대의 무덤으로 거석문화의 일종이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고인돌을 지석묘(支石墓)로 부르고, 중국에서는 석붕(石棚) 또는 대석개묘라 하며, 

기타 지역에서는 영어로 돌맨(DOLMEN)이나 거석으로 부른다. 

고인돌과 지석묘가 같은 의미의 용어로 사용되고 있지만, 

지석묘라는 용어는 그 한자의 뜻에서 추론되는 바와 같이 고임돌이 있는 무덤이라는 의미이다. 

고인돌은 대부분 무덤으로 쓰이지만, 

공동 무덤을 상징하는 묘표석 혹은 종족이나 집단의 모임 장소나 의식을 행하는 제단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인류가 거석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남기게 된 것은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재료로서 거석을 이용하였다는 점 외에도 

거석에는 신비로운 힘이 깃들어 있다는 의식에 바탕을 둔 것으로 생각된다. 

즉, 거석에는 정령이 있으며 이 같은 정령에 의하여 인간의 길흉화복이 좌우될 수도 있다는 인식하에

거석을 숭배하는 의식이 바탕에 자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처럼 거석에 정령이 깃들어 있다는 의식, 또는 거석을 숭배하는 것을 만물 숭배 신앙(Animism)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선돌과 더불어 대표적인 거석문화의 요소이자 조상들의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며,

그 당시 사회적‧경제적‧정치적인 측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출처_고창군청, 문화관광)

 

 

고인돌 박물관 앞에서 고인돌 탐방 안내소까지 약 800여 m를 이동하는 탐방 열차이다.

동심으로 돌아가 한번 타 보는 것도 재미있겠다.

 

선사마을 체험장은 들리지 않는다.

 

시간이 많으면 1코스부터 5코스까지 한 번에 둘러보는 게 좋지만,

고인돌이 대부분 그만그만한 돌이라 중심 권역인 4코스에서 3코스까지만 보기로 한다.

이 바위는 제법 평편하게 잘 생긴 바위로 제법 크고 길다.

이렇게 큰 바위를 중장비도 없던 청동기시대에 바위를 채취해 이곳으로 이동시킨다는 게 대단하다.

바닥에 통나무를 넣고 굴린다고 해도 이동거리를 평평하게 다지고 끌고 오려면 많은 사람이 필요하다.

바위의 무게를 견디는 거대한 밧줄은 어떻게 구하고 얼마나 많은 사람을 동원해야 했을까?

 

 

 

 

□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

 

고창, 화순, 강화의 유적은 한국은 세계의 다른 어떤 나라보다 높은 밀도로 분포된 고인돌 군이다. 

이것들은 고인돌의 채석, 운반, 건설, 

그리고 동북아시아 고인돌 형태의 변화 추이에 대한 중요한 증거들을 보존하고 있다.

고인돌은 기원전 2000년~1000년, 

세계 곳곳의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문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거석문화의 발현이다. 

고창, 화순, 강화의 선사시대 무덤은 기원전 1000년경의 돌무덤 몇 백 기를 보여 주고 있다. 

고인돌은 티베트, 쓰촨(四川), 간쑤(甘肅)와 같은 중국 서부와 산둥(山東) 반도, 

일본 규슈(九州) 북서 지방과 같은 해안 지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고인돌은 한국의 청동기시대에 전래되었다. 

고창의 죽림리 고인돌 군은 기원전 7세기경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곳의 고인돌 건설은 기원전 3세기에 중단되었다. 

화순 고인돌은 이보다 약간 늦은 기원전 6세기~5세기경에 만들어졌다. 

강화 고인돌 군이 만들어진 연대를 추정하기에는 자료가 불충분하지만, 

더 이른 시기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인돌은 보통 거대한 덮개돌을 지탱하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가공되지 않은 굄돌 따위로 이루어져 있다. 

대개 고인돌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중요 인물의 시신 또는 유골 위에 세운 단순한 무덤방으로 알려져 있다. 

흙무덤이 고인돌을 덮고 있는 경우도 있었겠지만 풍화작용과 동물들에 의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고인돌은 유골을 가족 공동묘지에 묻기 위해 시신을 수습하는 제단으로 쓰였을 수도 있다. 

고인돌은 보통 높은 기념물 위에 있는 고지대의 묘지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는 고인돌을 세운 사람들이 낮은 곳에 있는 정착촌에서 고인돌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였다.

 

동아시아에서는 그 모양에 따라 탁자식(북방식)과 바둑판식(남방식), 두 가지 형태의 고인돌이 알려져 있다. 

첫 번째, 탁자식은 지상 건축물이다. 

네 개의 굄돌을 석곽 또는 석관의 가장자리에 세우고 거대한 덮개돌을 그 위에 올린다. 

두 번째, 바둑판식에서는 석벽 또는 적석벽으로 된 무덤방을 땅 밑에 만들고, 

덮개돌은 땅 위에 놓인 돌무지에 의해 지탱된다.

바둑판식의 변종도 있는데, 그것은 땅에 묻힌 돌 위에 바로 덮개돌을 올려놓은 것이다.

고창 고인돌 유적은 규모가 크고 다양한 형태로, 죽림리 매산마을의 한가운데에 있다. 

대다수의 고인돌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어지는 언덕의 남쪽 자락 15~50m 높이에 자리 잡고 있는데, 

덮개돌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고인돌 442기가 있다.

화순 고인돌 유적은 고창의 것들처럼 지석강을 따라 야트막하게 이어진 언덕의 능선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의 고인돌 하나하나는 고창보다 온전한 모습을 보여 준다. 

효산리 고인돌은 158기, 대신리 고인돌은 129기다. 

고인돌을 만든 돌이 어디서 채석되었는지 식별이 가능한 경우도 꽤 있다.

강화 고인돌 유적은 연안 섬 강화도 산기슭에 위치해 있다. 

강화의 고인돌은 다른 유적들보다 높은 지대에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초기의 형태가 많은데, 

특히 부근리와 고천리의 고인돌이 그렇다.

                                                                           [출처_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고인돌은 하나하나에 모두 고유 번호가 있다.

모두가 일련번호로 관리되고 있는 것이다.

 

고인돌은 나지막한 구릉 아래에 분포한다.

채석장이 저산 어딘가 높은 곳에 있다면 한결 이동하기 쉬울 것이다.

청동기시대엔 숲이 울창했을 테니 원시림에 가까운 거대한 나무를 베어내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어렵게 나무를 베어낸다고 해도 이렇게 큰 바위를 채석장에서 적당한 크기로 자르기도 쉽지 않다.

모두 명석한 두뇌가 필요하다.

 

거대한 바위가 있는가 하면 작은 바위도 눈에 띈다.

 

 

고창 고인돌 유적 안내문을 보면, 

냇가의 흐름을 따라가면서 도산리, 죽림리, 상갑리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도산리에 5기, 죽림리 261기, 상갑리 181기 등 447기 이상의 고인돌과 그 흔적이 조사되었다.

1.8km 구간에 447기의 고인돌은 탁자식, 기반식, 개석식, 지상 석곽식 등 다양한 형식이 공존한다.

일본, 중국과도 비교할 수 없는 독특한 특징으로 2000.12.2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왼쪽으로 기운 고인돌이다.

오른쪽으로 고임돌이 있는데 왼쪽에 땅 꺼짐이 있었는지 주저앉았다.

3.000여 년의 세월이 흐르다 보면 여러 가지 변수가 생기기 마련이다.

 

보이는 바위 하나하나가 모두 고인돌이다.

 

대부분의 꽃무릇이 지고 없는데, 즐풍을 위해 네가 늦게 피었구나, 장하다.

 

이곳 채석장의 원석에서 고인돌에 사용된 암석이 떨어져 나간 흔적이 주로 앞면에서 잘 나타나는데,

원석 위 절리면을 이용하여 V자 형의 홈을 파서 길게 쐐기를 박고 위쪽을 때려서 떼어내는 방법을 사용했다.

구멍을 뚫어 쐐기를 박은 흔적이 남아 있고 원석이 떨어져 밑으로 굴러 내린 암석들이 주변에 남아 있다.

                                                                                                                                                        (안내문 일부)

 

바닥에 크고 작은 고임돌이 가로로, 또는 세로로 고여 있는 걸 볼 수 있다.

이 작은 바위가 육중한 바위를 안감힘을 쓰며 받혀낸다.

 

고창지역의 선운산이나 앞서 소개했던 병바위, 전좌바위, 심지어 이곳 고인돌까지 대부분이

데사이트질응회암 및 안산반암으로 이곳 고인돌은 채석장의 암석 성분과 같다.  (안내문)

 

 

 

 

 

이 고인돌은 무척이나 크고 높은 데, 우측 위부터 아래까지 크고 작은 균열이 생겼다.

심지어 아래쪽은 떨어져 나간 경우도 있다.

3천 년 넘게 이곳에 있다 보니 비바람에 풍화작용이라도 한 걸까?

 

강화도나 고창군, 화순군처럼 고인돌이 많은 곳은 바다나 강을 낀 낮은 구릉지대이다.

언덕 위에 채석장이 있다면 바위를 채취해 이동하기 좋다.

이곳 역시 냇가에 인접한 곳이면서 유순한 구릉지역이다.

 

이 고인돌은 크게 세로로 갈라진 뒤 우측 바위는 가로로 또 한 번 갈라지는 신공을 보인다.

 

규모가 다소 작은 고인돌 군락이다.

 

청동기시대는 물론 요즘처럼 바위를 뚫는 들릴이 없는 시대인 조선의 숙종 때에도

고인돌을 가르듯 원시적인 방법 그대로 돌을 채취해 북한산성을 쌓은 걸 볼 수 있다.

일산에 살면서 300번 넘게 다닌 북한산에서 성벽을 쌓기 위해 많은 바위를 가른 흔적을 봤다.

큰 바위들이 톱니바퀴처럼 상단에 흔적이 있는가 하면 흔적은 있으나 자르지 못한 바위도 더러 있다.

 

고창에 오면 고창읍성이나 무장현 읍성을 둘러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곳 고인돌 유적도 꼭 보아야 할 곳이다.

 

시간을 넉넉히 갖고 1코스부터 5코스까지 한 번에 끝내면 더욱 좋다.

 

 

 

 

 

 

 

고인돌 주변으로 탐방로가 설치되어 주변을 살피면서 걷기 좋은 곳이다.

 

 

 

2코스에 있는 2406호 고인돌의 경우, 1톤을 1.6km 이동하는데 15~20여 명이 필요하다는 실험에 비추어 보면 

최소 2,550여 명 정도가 동원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수치는 당시 고인돌 축성 집단의 사회적 규모를 추정케 한다. (안내문)

 

 

 

우리나라는 유감스럽게도 대리석이 생산되지 않아 로마 문화가 자랑하는 대리석 신전이나 경기장처럼

거대한 석조 문화는 발달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미 기원전 1,000년 무렵에 이렇게 많은 고인돌 유적을 만들었다.

강화도에서는 어쩌다 한두 개씩 보았는데, 고창은 수백 개가 한 군데 밀집된 곳이다.

 

고인돌이 궁금하다면 고창을 지날 때 이곳을 다녀가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