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성과 읍성 탐방/산성·읍성·진·보·돈대

강화도의 광성보 광성돈대 손돌목돈대 용두돈대 광성포대

by 즐풍 2023. 10. 27.

2023_168

광성보

 

 

광성돈대

 

 

2023. 10. 12. 목요일 해 질 녘에 탐방

 

 

강화도는 고려시대 때 몽고군이 쳐들어오자 당시 조정을 장악한 무신정권은 강화도로 피신했다.

바다가 없는 몽골초원의 몽고 군사들이 물살이 센 강화도를 건너기 쉽지 않다는 사실을 간파한 것이다.

나라를 지킨다는 명분보다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이었던 것이다.

목적이야 어떻든 후세에서는 세계 최강이던 몽골군과 맞서 싸운 훌륭한 조상으로 치켜세운다.

 

이후 대륙에서 침입하면 제일 먼저 바다를 건너 강화도로 피란 가는 게 순서였다.

병자호란 때 청나라가 침입했을 때도 임금은 강화도로 가고 싶었으나 그들이 너무 빨리 강화도

입구를 막는 바람에 방향을 돌려 남한산성으로 간 끝에 항복하는 쓰라림이 있었다.

국제정세에 무지한 데다 싸우자는 못난 신하들의 간청에  피해를 본 건 임금과 백성들이었다.

 

세월이 지나 서구 열강이 배를 이용해 조정으로 들어오려면 한양의 길목인 강화도를 거치게 되어 있다.

프랑스와 미국, 일본이 조정에 통상을 요구하며 강화도로 들어서자 또 한 번 격전의 순간의 맞는다.

프랑스는 이곳에 있던 조선의 역사서를 털어갔고, 미군은 열악한 조선군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일본에게는 끝내 나라를 빼앗기게 되는 현장의 중심이던 강화도의 격전지 진··돈대를 돌아본다.

 

 

 

강화 광성보 | 廣城墩臺 Gwangseongbo Fort, Ganghwa

사적 제227호 

 

강화 광성보*는 병자호란으로 강화도가 처참하게 함락된 후 체계적으로 방어하기 위하여 조선 효종 9년(1658)

강화 해협 주위에 설치한 12개의 진과 보 중의 하나로 화도돈대, 오두돈대광성돈대를 관할하였다.

무역 통상을 요구하며 미국 함대가 침범한 사건인 신미양요 1871 때 미국 군대와 사투를 벌여 어재연 등

모든 군인이 전사하였다.

이때 문의 누각과 성이 파괴되었던 것을 1976년에 새롭게 복원하면서 광성보 유적지 안에 신미양요 때

순국한 어재연 장군을 기리는 전적 비와 순국용사 350여 명을 기리는 신미순의총과 전적지를 수리한 내용을

기록한 비석 등을 함께 만들어 세웠다.

  • 보(堡): 일정한 규모를 가진 부대의 단위. 지휘소, 병사의 주둔지, 창고 등을 포함
  • 돈대(墩臺) : 경사면을 절토하거나 성토하여 얻어진 계단 모양의 평탄지를 용벽으로 받친 방위시설

A fort, called bo in Korean, was a military base where the command of a local army was stationed.

The area around Ganghwado Island has been a strategic military defense location for over a millennia,

as it is located at the mouth of two rivers which pass by the former capitals of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dynasties.

This fort was built in 1658. It is one of 12 forts established on Ganghwado at that time.

This fortress was the site of a battle during the United States expedition to Korea in 1871.

During the fierce battle, all the roughly 350 Koreans stationed at Gwangseongbo Fort died,

including commanding general Eo Jae-yeon. The fort was left in ruins.

In 1976, the fort was repaired and renovated. At this time, various memorials for general Eo

and the soldiers who died were built in the fort complex.

                                                                                          (안내문)

 

 

광성보(廣城堡)
사적: 제227호, 조선시대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연 덕성리 833


1658년(효종 9)에 강화유수 서원리(徐元履)가 새로 만든 것으로, l679년(숙종 5)에 축조된 오두돈대와

화도돈대·광성돈대를 관할하였다.

이곳에는 군선 5척과 별장 아래에 군관 29인·군병 100명·돈군 18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1874년에 만든 오두정 포대를 가지고 있었으며, l871년 신미양요 때 최대의 격전지였다.
이해에 통상을 요구하며 침입한 미국 함대가 강화 해협을 거슬러 올라오는 것을 광성(廣城)·초지(草芝)·
덕진(德律)·덕포(德浦) 등의 포대에서 일제히 사격을 가하여 물리쳤으나,

4월 23일에 450명의 미국 해병대가 초지진에 상륙하여 진을 점령하였다.

이튿날 미군이 북상하여 덕진진을 함락시키고, 이어서 광성보로 쳐들어왔다.

미국 극동 함대는 9인치 포와 8인치 포 등 약 80문(門)의 함포로 지원 사격을 하였으며,

광성보를 지키던 중군장 어재연과 그의 아우 어재순·군관 이현학·어영초관 유풍로·천총 김현경·

광성별장 박치성 이하 49인의 장사와 200여 명의 군사가 전사하고, 20여 명이 부상하였다.

이 전투에서 조선군은 열세한 무기로 분전하다가 중상인 몇 명을 제외하고는 전원이 순국하였다.

미군은 이 싸움에서 맥키 중위를 위시하여 3명이 전사하고 10명이 부상하였다.

성첩과 문루가 파괴된 것을 1976년에 복원할 때 함께 전사한 무명용사들의 무덤과 어재연·어재순 형제의

쌍충비각을 보수·정비하였다.

이곳에는 어재연장군의 전적비가 남아 있다.

                                                                      (출처_문화재대관 사적편 하)

 

 

광성보 옆 광성돈대로 들어선다.

 

 

광성돈대  

 

광성돈대는 광성보에 소속된 3개 돈대중. 하나로서 숙종 5년(1679) 함경도 · 황해도 · 강원도의 승군 8,000명과

어영군 4,300명이 40일 만에 완공하였다

1977년 포좌 4개소와 포 3문이 복원 설치되었다.

대포는 홍이포라고도 하며 사정거리 700m로서 포알은 화약의 폭발하는 힘으로 날아가나 포알 자체는 폭발하지

않아 위력은 약하다. 병자호란에도 사용하였다고 전한다.

소포는 사정거리 300m로서 포알은 대포와 같다. 대포는 조준이 안되나 소포는 조준이 된다.

작은 것은 불랑기라 하며 프랑스군이 쓰던 것이라 한다.

 

GWANGSONG DONDAE

 

This is one of three batteries that belonged to Fort Kwangsongbo.

It is said to have been built in 1679 during the reign of King Sukchong(r.1674-1720) of Choson(1392-1910)

by 4,300 troops and 8,000 monks mobilized from the Hamgy×ng-do, Hwanghae-do and Kangwon-do

provinces and to have taken 40 days to construct. It was restored in 1977.

The large guns, called hong-ip'o have a range of 700m. They were used to fire non-exploding cannon balls.

The guns are said to have been used in battles during the 1637 Qing Chinese invasion.

The small guns have aiming devices and a range of 300m.

They are said to have been left by troops of the French Asiatic Squadron that came to Korea in 1866 to take

punitive action against Korea for the suppression of Catholicism and the killing of nine French missionaries.

                                                                                                                   (안내문)

 

안내문에는 청나라를 Ching Chinese로 잘못 표기했기에 강화군청 담당부서에

Qing Chinese로 수정할 것을 권고했다.

 

광성돈대 입구

 

출입구에서 보는 광성돈대 내부에 대포와 불랑기가 설치된 걸 볼 수 있다.

 

 

 

광성돈대가 광성보와 연결된 게 보인다.

 

광성돈대는 바다와 연결되어 포문이 설치된 곳이 반원형 진지라는 걸 알 수 있다.

 

광성보와 관성돈대가 둔각으로 거의 마주 보게 되어 양쪽에서 협공하기 좋은 지리적 이점이 있다.

 

하트 모양으로 보이는 내부 모습

 

 

 

돈대 여장 위로 밀려오던 담쟁이 덩굴은 올해도 여장을 넘지 못하고 내년을 기약한다.

광성돈대를 넘는 게 그렇게 쉬운 줄 알았더냐.

 

불랑기와 대포

 

광성보 출입구 천장을 수놓은 용무늬 

 

광성보와 돈대를 살펴보고 소나무 숲길을 지나 손돌목돈대와 용두돈대를 보러 간다.

 

 

쌍충비 雙忠碑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1871년 신미양요 때 광성보 전투에서 순절한 중군 어재연 외 59명의 순절비이다.

1기는 광성파수순절비(廣城把守殉節碑)로 비의 규모는 폭 62cm, 높이 168cm, 두께 25cm의

양면비로 1873년에 건립 한 것이다.

다른 1기는 어재연과 어재순 순절비인데 폭이 58cm, 높이 177cm, 두께 26.5cm의 양면비로

역시 1873년에 건립했다.

고종 때부터 제사를 지내 왔으며, 1970년부터는 어재연의 후손들이 제사를 올려 충절의 유업을 추모하고 있다.

 

Ssangchung Stone Monuments

 

These two stone monuments were erected to honor 60 Joseon soldiers, including General Eo Jae-yeon,

who died at the Battle of Gwangseongbo in the 1871 War (Sinmy Yangyo) instigated by the invasion

of US naval force.

The first of the two, Gwangseong Pasu Sunjeolbi ("Monument for the Patriotic Defenders who Perished

at Gwangseong"), is 168cm tall, 62cm wide and 25cm deep.

The other monument, 177cm tall, 58cm wide and 26.5cm deep, was built to honor Eo Jae-yeon and Eo Jae-sun

who led the Joseon defenders during the battle. Both monuments were erected in 1873.

Annual memorial services have been held since the reign of King Gojong, first by the government and then,

since 1970, by the descendants of Eo Jae-yeon.  (안내문)

 

 

 

 

신미 순의총 (辛未 殉義塚)

소재지: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조선 고종 8년 (1871, 신미양요) 광성보 일대에서 미군과 격전을 벌이다 전사한 무명용사들의 무덤이다.

전사자들 중에서 어재연, 어재순 형제는 충북 음성군 대소면 성본리에 안장하고, 남은 군졸 51인은 신원을

알 수 없어 7기의 분묘에 합장하여 이곳에 안장하였다.

광성보 전투에서 조선군은 최후의 한 명까지도 포로가 되기를 거부하며 비겁하게 물러서지 않았으니,

외세의 침략에 대항하여 나라를 지키려 했던 우리 민족의 호국 정신을 잘 보여주는 곳이다. (안내문)

 

 

 

손돌목 돈대 孫乭項 墩臺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손돌목돈대는 조선 숙종 5년(1679)에 축조된 돈대로 원래 돈대 중앙에 3칸의 무기고가 있었고,

포좌 3개가 있었다. 돈대 넓이는 778㎡에 성곽 길이가 108m이다.

고종 8년(1871) 신미양요 때 미국 해군과 치열한 백병전이 벌어졌던 현장이다.

 

Sondolmokdondae Observation Post

 

Sondolmokdondae was built in 1679. 

The fort was originally comprised of one armory, located in the center with three cannons.

The structure measures 778㎡ in total area and the wall is 108m in length. During Sinmiyangyo

(American disturbance of 1871), the Korean forces engaged in a deadly battle with the US navy at this site.

                                                                                                (안내문)

 

손돌목돈대에서 바라보는 김포 방향

 

 

손돌목돈대 안의 포좌

 

 

포좌는 해안 방향으로 세 개가 설치되었다. 작은 손돌몰돈대를 끝내고 용두돈대로 이동한다.

 

 

용두돈대 (龍頭墩臺) Yongdudondae Observation Post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용두돈대는  강화해협을 지키던 천연 요새로서 손돌목돈대에 속해 있는 외곽 초소 겸 포대이다.

고종 8년(1871) 포대가 설치되면서 정비된 곳으로 1977년 강화 전적지 정화보수사업을 하면서

용두돈대라고 부르게 되었다.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때 지열한 포격전이 벌어졌던 현장이다. 

1977년 성벽을 복원하면서 강화 전적지 정화기념비를 세웠다.

 

This is a natural fortification, used to guard the Ganghwa Strait. 

Serving as an outpost for the Sondolmok Fort, this doubled as a battery.

This site was where the fierce battle during Sinmiyangyo (American Disturbance of 1871) took place.

Its ramparts were restored in 1977, and a monument was erected here. (안내문)

 

용두동대로 들어가는 용도 甬道

 

용도의 마지막 구간인 저곳이 용머리라고 생각했던 모양이다.

 

강화전적지 정화기념비가 세워진 모습

 

 

 

이제 서산에 해가 떨어지니 오늘도 거의 끝나간다.

 

 

광성포대 廣城砲臺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산 123

 

광성포대는 조선후기 강화도 해안수비를 위해 설치된 방어시설 가운데 하나이다.

국방 강화책으로 숙종(1675-1725)은 강화도내에 내성, 외성, 12진보, 54돈대 등을 축조하여 요새화를

이루었으나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거치면서 화력을 증가시키는 일이 시급한 과제로 등장함에 따라

고종 11년(1874) 용진진, 광성진, 덕진진, 초지진에 포대를 설치하였다.

 

광성포대는 손돌목돈대 주변 3곳에 설치되었으며 각각 9좌, 4좌, 3좌의 포좌를 갖추고 있었으며

이중 가장 규모가 큰 중앙포대는 길이 80m, 포좌의 크기 약 6m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1875년 운양호 사건을 계기로 외세에 문호를 개항함에 따라 파괴되었던 것을 2004년 발굴조사를

실시 유적이 확인되어 복원정비를 하였다.

 

Gwangseongpodae Bulwarks 

 

Gwangseongpodae was one of several defense installations built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o guard the coastal areas of Ganghwado Island.

The fortification of Ganghwado began as early as the reign of King Sukjong of Joseon 1675-1725,

who ordered the construction of its inner and outer fortresses, with 12 bastions,

and 54 embankments and redoubts.

The island outpost was further fortified in the aftermath of Byeonginyangyo and Sinmiyangyo,

two western incursions during the later part of the 19t century, which demonstrated the need to

improve artillery defenses on this part of the Korean coast.

Bulwarks at Yongjinjin, Gwangseongjin, Deokjinjin and Chojijin were built around this time,

namely the 11th year of King Gojong 1874.

Gwangseongpodae consists of three bulwarks situated near the Sondolmokdondae Embankment,

equipped with 9, 4 and 3 gun decks, respectively.

The middle bulwark, the largest of the three, measures 80m in length,

and was furnished with gun decks presumed to have been 6m in length.

The bulwarks were demolished after the Uno Incident (attacks by Japanese warship) of 1875

and the subsequent opening of Korea,

and their remains were confirmed, restored and reshaped following excavation work in 2004.

                                                                                                            (안내문)

 

광성보를 비롯해 손돌목돈대나 용두돈대는 벌써 네댓 번 다녀갔어도 용두포대가 있다는 건 오늘 처음 알았다.

이곳을 2004년 발굴조사를 통해 복원했다고 하니 그럴 만도 하다.

 

운양호 사건 때 광성포대가 철저하게 파괴되었나 보다.

2004년 발굴조사로 복원되었다고 하니 그동안 세월은 무심히 지나간 것이다.

 

앞으로 이 포대를 더 쓸 날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아무리 강대국이라 해도 나라는 망하고 새로운 나라가 들어선다.

지금의 중국이 그렇고, 미국도 언젠가 망하며 새로운 나라가 들어설 것이다.

우리나라도 그동안 수없이 많은 나라가 들어서고 도 새로운 나라가 나타났다.

역사의 수레바퀴는 늘 새로운 곳을 달리는 데, 지금 이 나라는 어디를 지나가는 것일까?